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뉴스
"
DNA
"(으)로 총 2,12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유전자가위 광유전학으로 조절하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7
염기 편집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입증했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질병과 관련된
DNA
편집의 잠재적 위험인 돌연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RNA 기반 치료법 발전과 세포 내 RNA 기반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온라인판에 지난달 22일 ... ...
"박테리오파지
DNA
이용해 치명적 항생제 내성균 잡는다"
연합뉴스
l
2024.02.01
박테리오파지를 연구하고 있으며 앞으로 치료법을 최적화하기 위해 박테리오파지
DNA
를 계속 수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트만 교수는 "파지 치료법이 강력한 점은 항생제와 달리 특정 표적에만 작용한다는 것"이라며 "축농증 치료를 위해 항생제를 복용할 경우 그 영향이 위장관 전체에 ... ...
인간이 만든 화학물질, 자연에서 분해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7
실리콘과 탄소의 결합을 해체하는 특성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시토크롬 p450의
DNA
를 변형시켜 새로운 변종 효소를 만들어내 실험한 결과 실리콘-탄소 결합을 효과적으로 떼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리콘-탄소 결합을 직접 절단하지 않고 순차적인 단계로 산화시켰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 ...
선거의 계절 딥페이크 판별 등 AI가 불러온 혁신의 물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시대가 열린 것이다. 네이처는 "메사추세츠공대 연구진이 개발한 보다 규모가 큰 단위로
DNA
를 교정할 수 있는 '프라임 편집' 기술도 올해 주목된다"며 "프라임 편집은 병원체 내성을 가진 농작물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몸속 세포를 지도화하는 ‘세포 아틀라스’ 프로젝트도 ... ...
'아라비카' 커피 풍미가 깊은 이유…기후변화 견딜 품종 위한 유전자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품종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모르간테 교수 연구팀은 아라비카 원두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해 유전자 지도를 만들었다. 이를 통해 원두 고유의 독특한 향과 맛을 살리면서도 어려운 재배 조건을 견딜 수 있는 특정 유전자를 확인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2490개 염기쌍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라마크리슈난 박사가 2018년 ‘Gene Machine(유전자 기계)’이라는 제목의 회고록을 펴냈다.
DNA
구조 연구 상황을 그린 제임스 왓슨의 ‘이중나선’이 연상돼 읽어보려고 했지만 차일피일하다 잊어버렸다.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구조생물학으로 분야를 바꾼 영국 MRC분자생물학연구소의 ... ...
국내 첫 유전자가위 영상화…"체내 이동·효과 즉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1.23
감마선을 추적해 유전자 가위가 어디로 이동하는지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정
DNA
로 찾아가는 유전자 가위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의료용 동위원소 지르코늄-89는 반감기가 3.3일로 체내에서 오래 머물지 않아 안전하다. 생체물질을 추적하는 데 적합하고 다른 ... ...
굶주린 반려동물, 사망한 주인 훼손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1
의해 훼손된 것으로 의심된다면 털, 대변, 마릿수 등의 샘플을 수집하고 사진, 3D 스캔,
DNA
분석 등을 기반으로 동물이 훼손을 했는지 판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동물의 시체 섭취가 송장벌레의 발생 시점에 영향을 미쳐 사망 원인 시간을 추정하는 데 방해가 됐는지 여부도 판단해야 한다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아무 효과를 지니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닥티노마이신은 세균이든 암세포든
DNA
에 닥티노마이신이 끼어 들어가면 생존이 어렵게 하므로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를 가리지 않고 같은 효과를 보여 주고 있다. 1964년에 항암제로 개발된 지도부딘은 1987년부터 항바이러스제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게 ... ...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
과학동아
l
2024.01.20
연구를 수행할 것처럼 알렸다. 따라서 프랭클린은 비록 연구소 소속이지만 자신이
DNA
구조의 X선 회절 분석에 관한 독립적인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연구 책임자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생물물리부서의 교수이자 X선 회절 분석을 그전부터 수행해왔던 윌킨스는 랜달에게 이와 같은 조치를 전혀 통보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