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440건 검색되었습니다.
10나노 두께 열감지 필름 개발…초경량 야간투시경 응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4.24
제작했다. 한 변이 약 60마이크로미터(㎛,
100
만분의 1m)인 정사각형 모양으로 만든 필름
100
개를 배열하고 미세한 온도 변화를 준 결과 필름은 원적외선 영역 전반에서 작은 온도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했다. 최신 야간투시경의 감도와 비슷한 수준이다. 현재 널리 쓰이는 광검출 방식 야간투시경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조기 대선 집어삼킨 AI 공약 현실적인가
2025.04.23
것은 사실이다. 인공지능에 쏟아붓겠다는 투자 규모가 엄청나다. 민·관이 힘을 합쳐서
100
조원을 투자하겠다는 후보도 있고 5년 동안 인공지능 인프라와 생태계 구축에 200조원을 들먹이는 통 큰 후보도 있다. 한 해에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투입하는 정부 예산이 30조원이고 민간 투자가 70조원인 ... ...
900만km 꼬리 달린 행성…"급속 붕괴 중"
동아사이언스
l
2025.04.22
주기마다 지구 에베레스트산만큼의 질량을 방출하고 있다. 연구팀은 BD+05 4868 Ab가 향후
100
만~200만년 내에 완전히 분해될 것으로 예측했다. BD+05 4868 Ab를 포함해 천문학자들이 발견한 약 6000개의 행성 중 분해되고 있는 행성은 총 4개로 모두 먼지 꼬리가 달려 있다. 이번에 발견된 BD+05 4868 Ab의 꼬리가 ... ...
이재명·홍준표, '2000명 의대 증원은 무리' 한목소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4.22
하면 이공계 전체가 무너지며 이공계 인재를 모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의대 증원은
100
명, 200명씩 서서히 늘려나가야 한다는 설명이다. 홍 후보는 윤 정부는 의료계와의 충돌에 기인해 무너졌다고도 지적했다. 홍 후보는 “전 정부가 무너진 첫 단초는 의료계와의 충돌 때문”이라며 “이 문제를 ... ...
"미세플라스틱 오염된 토양서 생물 면역력도 떨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4.22
건국대·연세대 연구팀은 국내 서식종인 붉은줄 지렁이를 대상으로 1마이크로미터(μm,
100
만분의 1미터) 폴리스티렌(polystyrene)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될 경우 면역세포 식균작용 및 음세포작용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확인했다. 음세포작용은 식세포작용과 같은 일이 액체 물질에 대해 이루어져 ... ...
자폐스펙트럼장애, 새 발병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21
쇠약해지는 유전질환이다. 세계보건기구(WHO)의 2022년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어린이
100
명 중 1명이 ASD 진단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DM1 환자는 ASD 진단을 받을 확률이 일반인에 비해 14배 높다는 점에서 두 질환 사이에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고 연구를 진행했다. 분석 결과 DM1을 ... ...
고령자 항암치료 포기는 옛말…“면역항암제 효과, 젊은 환자와 동일”
동아사이언스
l
2025.04.21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면역관문억제제 치료를 받은 환자
100
명의 면역반응을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환자 중 절반 가량은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였다. 분석 결과 고령 환자군에서도 젊은 환자군과 동등한 치료 효과가 확인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中, 인간닮은 로봇 기술 '굴기'…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하프 마라톤
동아사이언스
l
2025.04.20
대회에 21대의 로봇이 함께 참여하는 형식으로 개최됐다. 세계 각국의 외신 기자
100
여명 등 수백명의 취재진과 중국 인플루언서들이 모여 높은 관심을 보였다. 대회에는 9000여명의 일반 선수와 21대의 로봇 선수가 참여했다. 로봇 곁에는 길잡이·조종수·엔지니어 등 보조 인력이 바짝 붙어 로봇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다의 작은 소용돌이가 일으키는 '나비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9
100
~300km 크기의 중규모(mesoscale) 소용돌이 연구는 활발하지만 상대적으로 관측이 어려운 10~
100
km 크기의 준중규모 소용돌이는 그동안 관찰·분석이 어려웠다. 최근 수십년 간의 연구결과와 지역 관측 데이터에 따르면 준중규모 소용돌이의 지구 기후에 미치는 영향력이 예상보다 클 것이라는 주장이 ... ...
KAIST, 자율비행 드론 레이싱 세계대회서 3위
동아사이언스
l
2025.04.18
비행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우수한 기량을 선보였다는 평가다. 심 교수팀은 총상금
100
만달러(약 14억원) 중 10만5000달러(약 1억5000만원)의 상금을 받았다. 이번 대회는 외부 카메라나 라이다(LiDAR) 센서 없이 단안 카메라만을 활용하는 최초의 국제 대회다. 카메라 기반 자율비행 드론 레이싱은 스포츠를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