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장
데코레이션
꾸밈새
데코레이숀
화장
꾸밈
단장
뉴스
"
장식
"(으)로 총 466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수욕장에 나타난 대형 악어, 해변 어슬렁
2016.07.23
악어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바다로 돌아갔다. 난데없는 악어의 출몰은 언론의 지면을
장식
하기도 했다. 상어가 휴양지에 나타나 공포를 준적은 많았는데, 악어가 해변의 사람들 사이를 어슬렁거린 광경은 좀처럼 볼 수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 ...
2014년 아이슬란드 화산피해 줄인 일등공신은 ‘빙하’
동아사이언스
l
2016.07.17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화산재가 뒤덮인 도시의 모습이
장식
했다. 2014년 8월 폭발을 시작한 아이슬란드 바우르다르붕가 화산의 여파로 생긴 짙은 수증기의 모습이다. 매그너스 거드먼슨 아일랜드대 교수팀은 바우르다르붕가 화산의 진행과정을 분석해 그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했다. ...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6.07.10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가오리를 모방해 만든 초소형 ‘가오리 로봇’이
장식
했다. 실제 가오리 크기의 10분의 1(무게 10g, 몸통 너비 16㎜)로 만든 이 로봇은 청색광(光) 자극으로 근육을 조종해 움직일 수 있는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이다. 한국인 과학자인 박성진 미국 하버드대 ... ...
페르미를 사랑하는 한 물리학자의 에세이
2016.07.10
엔리코 페르미인 것 같다. 페르미는 이 교수의 신간인 ‘불멸의 원자’의 표지를
장식
하고 있다. 책에 수록된 에세이 중 한 편인 ‘쉬운 듯 우아하게’에서는 페르미에 대한 존경과 애정이 유독 드러난다. 저자의 표현에 따르면 페르미는 어려운 문제도 쉽고 간결하고, 뛰어나면서도 우아하게 ... ...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06.30
가능할 정도로 엄청나게 밝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슈미트의 발견은 타임지 표지를
장식
했다. 이를 계기로 세이퍼트 은하를 비롯해 특이한 방출선이 관찰되는 다양한 천체가 급부상했다. 주로 광도가 매우 높고, 일반 은하에 비해 자외선, 적외선, 전파, X선 등을 훨씬 많이 방출하는 천체들이었다. ... ...
中 과학기술의 현주소를 짚어 본다
2016.06.26
이룬 나라 중국. 이번주 ‘네이처’ 표지에는 중국 과학기술의 현 주소를 분석한 논문이
장식
했다. 중국의 과학기술 연구개발(R&D) 투자는 유럽 국가들의 3분의 2 수준이다. 하지만 임금이 낮은 것을 고려하면 유럽을 뛰어넘을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2%가 넘는 금액을 투자하고 ... ...
DNA만 알고 RNA는 모른다면, 아니 아니 아니되오~
2016.06.19
표지는 복잡하게 얽혀 있는 유전체 사이의 RNA(리보핵산)를 나타낸 상징적인 그림으로
장식
됐다. 곳곳에 RNA가 어디로 향할지를 나타내는 이정표가 눈에 띈다. RNA는 핵산의 일종으로 DNA에 새겨진 유전정보에 따라 필요한 단백질을 합성할 때 직접 작용하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RNA는 세포 ... ...
“장내미생물이 뇌 자극해 살찌게 만들어”
2016.06.12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장내 미생물이
장식
했다. 장내미생물의 변화는 지방산의 농도를 변화시켜 비만을 유발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그 인과관계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제랄드 슐맨 미국 예일대 교수팀은 장내 미생물이 비만을 유도하는 과정을 쥐 실험을 ... ...
[Vivid Sydney]‘기술+빛+음악+아이디어=비비드 시드니’
2016.06.08
길가의 몇몇 건물들은 벽면이나 지붕에 레이저로 그림을 입히는 미디어 파사드로
장식
합니다. 최호섭 제공 역시 시드니의 하이라이트는 오페라 하우스지요. 오페라 하우스의 하얀 지붕에도 미디어 파사드를 입힙니다. 해가 떨어지면 알록달록한 무늬가 쉴 새 없이 흘러가면서 그 화려함을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년)을 뒤적거려봤는데 얼룩나방 이야기를 찾을 수 없었다. 한 세기 전에 중고교 교과서를
장식
하며 다윈의 자연선택을 상징했던 사례가 어떻게 이런 논쟁에 휘말렸는지 궁금해졌다. 그리고 이번 유전자 규명이 케틀웰의 연구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 ●시큼한 분노의 포도? 케틀웰 실험에 대한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