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뉴스
"
인류
"(으)로 총 3,59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에도 통하는 플라시보 효과
2024.09.04
문득 든다. 우리 삶의 질을 결정하는 데 여전히 상당한 역할을 하는 파충류 뇌는
인류
의 진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형식 정보를 통해서 내용을 추측하고 적절한 대응을 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게 아닐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과기원NOW] KAIST, 제2차 국제
인류
세 심포지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열린다. 기조 강연은 마틴 헤드 캐나다 브록대 교수와 위르겐 렌 독일 막스플랑크 지구
인류
학 연구소장 등 국제 석학들이 펼친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6일 오룡관 101호에서 ‘한국 수학의 새 지평: GIST의 수리과학 도전과 기회’ 주제로 GIST의 수리과학과 설립 및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 ...
한국인 첫 리켄 수석과학자 김유수 교수, IBS 신임 단장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한일 공동연구 또한 적극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김 단장은 “촉매, 배터리, OLED 등
인류
에게 편의를 가져다준 기술의 기저에는 모두 고체 표면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연구해 온 기초과학자들의 연구가 있다”며 “개인적으로 연구에 있어 큰 변화가 필요하다고 느낀 시점에 변화의 방향성과 IBS가 ... ...
우주비행사의 적, 우주방사선 잡는 우주복 신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인간의 우주 공간 직접 진출이 가시권에 들어온 셈이다. 우주 방사선은 이같은
인류
의 우주 진출에 직접적인 걸림돌이다. 우주 방사선을 차폐하는 우주복 신소재가 필요한 이유다. 국내 과학자들이 우주 방사선에 포함된 중성자를 막는 새로운 복합섬유 소재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우리 몸에 자리잡는 식품미생물...질병에 영향 미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일부가 우리 몸에 들어와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뜻이다. 세가타 교수는 "
인류
가 장내 미생물 중 일부를 음식에서 직접 얻도록 적응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성인의 경우 3%라는 수치는 낮아 보이지만 비중이 중요한 게 아니라 건강과 질환에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볼 ... ...
2100년엔 산성화된 바다로 바캉스 떠난다
과학동아
l
2024.08.31
이미지. 색이 붉을수록 해수면 온도가 높다. 2100년의 지구는 어떨까. 많은 과학자들은
인류
가 탄소중립을 달성해 지구온난화를 늦춘대도 수온이 1도 오르는 것은 피할 수 없다고 전망한다. NOAA 제공 "This may be the coolest year of the rest of our lives (올해는 남은 우리 인생에서 가장 시원한 해가 될 겁니다)." ... ...
[동물do감] 서로 이름 부르며 소통하는 마모셋 원숭이…영장류 최초
동아사이언스
l
2024.08.30
소규모 가족을 이루고 새끼를 함께 돌본다"며 "이런 유사성은 이들이 언어 발달 이전의
인류
조상과 비슷한 사회적 도전에 직면했고 이는 인간과 유사한 소통 방법 발달로 이어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 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dp375 ... ...
인간 뇌, 빠르게 커진 진화의 대가는 노화 취약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8.30
전전두엽 피질이 노화에는 가장 취약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류
는 침팬지 등 다른 동물과 비교해 뇌가 크고 복잡해지는 방향으로 진화하면서 다양한 이점을 얻었다. 하지만 뇌의 진화가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펠릭스 호프스태터 독일 율리히 신경과학 ... ...
200년 전 깨어난 공룡 화석에 지구의 미래를 묻는다
과학동아
l
2024.08.30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가치가 높은 공룡 화석을 다수 소장한 곳으로 유명하다.
인류
가 두 번째로 이름을 붙인 공룡 '이구아노돈'을 포함해 약 157개의 공룡 화석이 전시돼 있으며 약 300점 이상의 화석이 연구를 위해 수장고에 보관돼 있다. 전세계에서 매년 500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이곳을 방문한다. ... ...
[과기원NOW] 리튬-황 배터리, 차세대 친환경 배터리로 거듭날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9
임명됐다. 임기철 GIST 총장은 "특임교수로 임명된 여러분이 현장 감각을 바탕으로 국가와
인류
가 필요로 하는 미래 인재를 길러 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재단법인 송곡문화장학재단이 DGIST에 발전기금 1억원 기부를 약정했다고 29일 밝혔다. 기금은 DGIST 바이오 연구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