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로고스
지력
이법
기성
완성
두뇌작용
지능
뉴스
"
이성
"(으)로 총 30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학이 삶을 윤택하게 만든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20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진과 도표가 충실하게 실려 있는게 특징이다.
이성
의 통제를 넘어서는 충동과 이를 작동시키는 쾌감회로를 이해하고 우리의 존재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얻고 싶다면 책장을 넘길 만하다. 예스24 제공 ◆無로부터의 우주(로렌스 크라우스 著, ... ...
초고화질 UHD TV 상용화 무엇이 걸림돌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0.07
날씨에 따라 자동으로 화질을 조정해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는 ‘적응형 광대역
이성
방송 서비스 기술’을 개발했다. 그렇다면 UHD TV 구입 언제가 좋을까? 전문가들은 가정용 UHD TV구입은 아직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방송국 등에서 장비 표준도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 고화질 영상을 보내려면, ... ...
연꽃이 두려운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9
개 덩치가 클수록 그 정도가 심해진다. ●공포증은 진화상 유리한가? 이런 공포증은
이성
으로는 불합리하다고 생각하면서도 막상 그 상황에 마주치면 어찌해볼 도리가 없는 게 특징이다. 그래도 요즘은 진화심리학자들이 이런 공포증을 좋게 해석해 약간 위안을 주기도 한다. 즉 상황을 좀 더 ... ...
배우자 독차지 위한 전략이 '일부일처제'
동아사이언스
l
2013.07.31
루카스 박사팀은 인간을 포함한 일부 포유류가 일부일처제를 택한 것은 배우자를 다른
이성
으로부터 지키기 위한 전략이라는 내용의 연구성과를 사이언스 8월 2일자에 발표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포유류 2500종을 계통발생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과거 일부다처제였던 종들 중 일부가 오늘날 ... ...
'성경'이 '종의 기원'을 보듬을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7.28
과연 종교와 과학의 동행은 가능한 것일까? 목사이자 신학과 교수인 저자는 “신앙과
이성
은 원래부터 인간의 문화와 삶을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두 요소였다”면서 종교와 과학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밀접하게 얽혀 상호보완적으로 발전해 왔다고 주장한다. 뉴턴, 다윈과 같은 과학자의 ... ...
“
이성
친구 많이 사귀면 ‘잘나가’ 보여요”
동아일보
l
2013.07.16
서로 동의는 했는지’ ‘강제적인 행동은 없었는지’를 자연스럽게 물어본 뒤 자녀가
이성
교제와 스킨십에 대한 왜곡된 생각을 하지 않도록 단호히 지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영신 기자 lys@donga.com [화제의 뉴스] - 해킹, 초짜도 10분밖에 안 걸렸다 - 탈북자, 재입북 공개 예고 왜? - 걸그룹 ... ...
열심히 연기한 배우에게 박수는 아깝지 않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14
만든 문명의 연극을 보며 관객은 몰입보다는 비판과 낯섦으로 연극을 봤다. 현상을
이성
적으로 볼 수 있는 좋은 시도다. 그렇지만 여전히 우리에게 남아있는 것은 열심히 연기한 배우들에게 아낌없이 박수를 쳐야 한다는 사실이다 ... ...
[기자의 눈] 대중과 과학의 거리를 좁히려면
과학동아
l
2013.07.14
울리고 있다. 과학기자들도 과학자들과 마찬가지로 과학적 불확실성을 대중의 비
이성
적 불안감 정도로 치부하기도 한다. ‘쉽게 풀어주겠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대중이나 권력에 끌려가지 않는’ 기본을 다시 되새겨야 과학과 대중이 한층 가까운 ‘과학 대중화 선진국’이 될 수 ... ...
아빠 어디가? 수학하는 생물들 보러 가지~!
수학동아
l
2013.06.27
9월 사이에 개울가나 논두렁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반딧불이는 불빛을 반짝이면서
이성
을 유혹하는 곤충이다. 특히 가까이 모여 있는 여러 마리의 반딧불이가 제각기 깜빡이다가 점차 박자를 맞춰 깜빡이는 '동기화' 현상은 아름다움을 넘어 신비롭기까지 하다. 그런데 수학자들은 이같은 ... ...
인류 뇌팽창은 전두엽이 주도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17
건 대뇌피질의 팽창이 원인이고 그 가운데서도 전두엽이 특히 더 급속히 커져 인류가 ‘
이성
적 동물’로 거듭날 수 있었다는 것. 이 역시 필자는 지금까지 너무 당연한 사실이라고 여겼기 때문에 고정관념이라고 생각해보지도 않았다! 따라서 필자는 도입부에 이 사실을 언급하면서 이야기를 전개한 ... ...
이전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