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뉴스
"
옆
"(으)로 총 1,319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기세에 눌렸나…미국서 매년 수만명 앗아간 독감 최저치
연합뉴스
l
2021.02.26
코로나바이러스가 가을과 겨울에 좀 더 일반적이던 독감과 다른 유행성 질병을
옆
으로 밀어냈다는 해석도 있다. 미시간대의 독감 전문가인 아널드 몬토 박사는 과학자들이 메커니즘을 완전히 이해하진 못하지만, 특정 독감 변이가 다른 변이를 지배할 때 나타나는 패턴과 일치한다고 말했다. ... ...
[영상·음향+]화성 탐사선 퍼시비어런스 '공포의 7분'과 화성의 바람소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2.23
이르기까지 정말 경외심을 불러일으킨다”고 말했다. 화성에 착륙한 퍼시비어런스의
옆
모습을 카메라로 촬영했다. NASA 제공 영상은 캡슐과 스카이크레인, 퍼비시어런스에 있는 5개 카메라에서 촬영됐다. JPL은 로버 하강과 착륙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2만 3000여 장과 30기가바이트 정보를 ... ...
북극 찬공기 가둔 제트기류 둑 터지자 영하 39도의 한파가 미국을 때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박이형 기상청 통보관은 “팽이가 강하게 돌 때 똑바로 돌고, 회전력이 약해지면
옆
으로 기우뚱하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열대 태평양에서 지속되고 있는 라니냐 때문에 북태평양과 북미 서해안에 ‘블로킹’이 발달한 것도 원인으로 꼽혔다. 블로킹은 고위도에서 정체하거나 매우 느리게 ... ...
코로나 백신 치료제 개발 돕는 전국 연구장비 네트워크망 만든다
2021.02.08
단백질 3차원 구조를 밝혀내며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혁혁한 공을 세웠다. 같은 시각
옆
실험실 모니터에 극저온전자현미경이 찍은 바이러스의 구조가 떴다. 광학 현미경이 촬영한 영상도 또 다른 모니터에 나타났다. 노성훈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학교 곳곳에 흩어져 있던 전자현미경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서로의 성공에 함께 기뻐하고 있는가
2021.02.06
아닌
옆
에 있는 누군가의 손에 더 크게 달려있는 것이다. 지금 분명 잘 하고 있더라도,
옆
에 어쩌다가 좀 더 뛰어난 사람이 존재하기라도 하면 순간 지옥을 맛보게 되는 모래성 같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나보다’ 더 잘 되는 건 원치 않는다 쉽고 빠르게 남과 비교해버릇하는 특성은 ... ...
무덤에 있는 거대한 괴수 조각상
팝뉴스
l
2021.02.01
사이에서 큰 화제를 낳으며 궁금증도 자아냈다. 왜 저런 무시무시한 조각상을 무덤
옆
에 둔 것일까? 악한 영혼의 침범을 막기 위해서였을 것이라는 추정이 네티즌 사이에서 우세하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다른 사람의 불행에서 안도감을 느끼는 심리
2021.01.30
좋아질 수 있다는 ‘희망’ 또한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같은 입장에 처한 사람으로서
옆
에 있는 누군가의 불행은 곧 나의 불행일 수도 있으며 역시 다른 환자의 행복은 곧 나의 행복이자 희망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하향비교는 사람들을 좀 더 이기적이게 만들기도 한다. 물론 ... ...
악어처럼 헤엄쳤나, 황새처럼 거닐었나…스피노사우루스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1.29
더 많이 받아 체형상 수영이 쉽지 않다. 스피노사우루스의 콧구멍이 위아래가 아니라
옆
으로 긴 형태여서 악어처럼 물에 콧구멍을 내놓고 숨 쉬기도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날카로운 발톱이 달린 앞발로 육지를 활보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스피노사우루스는 악어보다는 황새처럼 물에 ... ...
고양이의 ‘일타쌍피’ 생존 전략일까…기분 좋고, 모기 쫓고
2021.01.21
대가리에 바른 고양이와 바르지 않은 고양이를 모기가 들어있는 시험관
옆
에 두고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네페탈락톨을 바르지 않은 고양이가 바른 고양이보다 모기에 약 2배 많이 물렸다. 연구팀은 "고양이가 쾌락을 느끼기 위해 캣닙에 부비다가 모기 쫓는 효과까지 얻게 된건지, 반대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보노보보다 관대하고 침팬지보다 사악한 '인간'
2021.01.19
통해 반응적 공격과 주도적 공격 모두 자제하는 관대한 종이 됐다. 그럼에도 사람
옆
에 성체 보노보를 자유롭게 놔두는 것은 여전히 위험하다. 보노보 무리의 모습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침팬지와 보노보는 90만~210만 년 전 공동조상에서 갈라졌다. 이 사이 보노보는 늑대에서 개가 나온 것처럼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