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기증"(으)로 총 3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임 한국뇌은행장에 김종재 울산의대 교수동아사이언스 l2017.01.31
- 서울아산병원과 함께 ‘한국뇌은행네트워크(KBBN)’를 구축해 현재까지 22명의 기증자로부터 뇌조직을 받았다. 김 신임 한국뇌은행장은 “2022년까지 200명 이상의 인간 뇌조직을 확보해 한국뇌은행을 글로벌한 경쟁력을 가진 국가 차원의 뇌과학 연구 기반 시설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 ...
- 장기 기증의 가치를 알려주는 인형 팝뉴스 l2017.01.07
- 기다리는 대기자의 수는 약 1만 4천명. 그 중에서 오직 3백 명 만이 매년 필요한 장기를 기증받을 수 있다고.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 ...
- 네이처가 뽑았다! 당신이 알아야 할 2016년 최고 과학자 10명!동아사이언스 l2016.12.19
- 자녀가 신경계 손상을 앓게 되는 리씨증후군을 앓는 여성의 난자에서 핵만 추출해 기증 여성의 난자에 삽입한 후, 남성의 정자를 수정시킨 겁니다. 윤리적인 문제, 안전성 등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이 여성은 건강한 남자 아기를 낳는 데 성공했습니다. 네이처 제공 ■ 크리스퍼 안전 ... ...
- 82억원에 낙찰된 페라리 팝뉴스 l2016.12.07
- 중부에서 있었던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한 기금 마련에 동참하며 500번째 라페라리를 기증했고, 지난 토요일 미국 플로리다에서 열린 경매를 통해 700만 달러에 낙찰된 것이다. ‘이로써 라페라리는 21세기 경매에서 팔린 자동차 중 최고가 기록’을 갖게 되었다. 라페라리가 처음 시판되었을 때 150만 ... ...
-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12.01
- 시설과 제공 장기저장고 내부는 마치 도서관과 같았다. 종자를 병에 넣고 밀봉한 뒤 기증한 기관별로 구역을 나눠 보관했다. 병마다 QR코드가 붙어 있어 컴퓨터로 미리 종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들어올 수 있다. 덕분에 신속히 작업할 수 있다. 냉동실보다 온도가 낮은 저장고 내부에 성애가 생기지 ... ...
- 유전병 피하는 ‘세 부모 아이’ 시술, 성공률 높이는 법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6.12.01
- 섞여 들어간 1~2%의 미토콘드리아가 다수를 차지할 수 있다. 이에 연구진은 친모와 기증자의 하플로그룹의 복제 속도를 비교해, 서로 비슷한 속도를 가진 경우에만 ‘세부모 아이’ 출산 시술을 할 경우 성공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국내에선 현재 서울아산병원 연구진이 세 ... ...
- 진짜 매머드가 나타났다? 천연기념물센터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11.30
- 매머드 피부와 털 화석도 포함돼 있지요. 이렇게 찾은 화석들을 조국의 어린이들을 위해 기증해 주시기로 하신 거예요.” 올해 6월, 무려 1300점 이상의 신생대 포유류 화석이 우리나라에 도착했어요. 이 가운데 털매머드의 피부와 머리뼈, 상아, 이빨 등 30여 개의 화석이 먼저 전시되고 있는 거랍니다 ... ...
- 한국인 특이질환 찾아 낼 ‘표준 유전자 지도’ 나왔다2016.11.24
- 박 소장팀은 서울, 대전, 울산, 강원 등 전국 각지에 사는 한국인(일반인) 41명의 게놈을 기증받아 약 30억 개의 염기서열을 해독했다. 이들에게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한국인 고유의 유전적 특징을 모두 정리했다. 이 결과 한국인 1명의 게놈지도를 기존의 인간표준게놈지도과 비교할 경우, 돌연변이 ... ...
- 중국 최초 한중 합작 평화의 소녀상이 상하이에 설치된 이유가 뭘까? 2016.11.18
- 일본군이 전시에 사용한 콘돔과 성병예방약 등 자료와 위안부 생존자들이 기증한 각종 물품과 연구자료 아카이브(Archive)가 설치되어 있고, 위안부 증언이 담긴 영상을 볼 수 있는 영상실도 마련되어 있다. 위안부 관련 일부 연구 자료들은 현장에서 소정의 금액을 기부함에 넣고 구입할 수도 있다. ... ...
- 가정용 전동공구, 이것만 알아두면 혼자서도 잘해요! 동아사이언스 l2016.11.10
- 사용 빈도가 높지 않아 구비해 두기 곤란한 각종 공구를 주민센터에서 직접 구매하거나 기증받아 주민들이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유 서비스입니다. 주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 공유 문화를 확산해 공동체 의식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되는 사업입니다. 각 대여소마다 차이는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