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
라이트
불빛
광
빔
들보
레이저광선
뉴스
"
광선
"(으)로 총 510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 첫 관측]우주의 검은 구멍 찾아 한 세기, 주목할 도전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블랙홀이 별을 삼키는 전 과정을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하와이에 있는 가시
광선
망원경 팬스타스(Pan STARRS)와 NASA의 은하수 진화 탐사선의 발견한 장면을 모아 20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섬광을 관찰했다. 찬드라 X선 관측선을 통해 검증도 완료해 블랙홀이 적색 거성을 삼키는 ... ...
다목적실용위성3호가 촬영한 고성 산불 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공개된 ‘근적외선합성영상’은 위성카메라에 탑재된 센서가 센싱한 근적외선과 가시
광선
영상을 합성한 이미지다. 붉게 표시된 부분은 화재가 난 지역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수풀 등 식생을 나타낸다. 화재로 소실된 지역은 근적오선 반사량이 미미해 검은색으로 표시된다 ... ...
무선 전자기기 전성시대...과연 건강은 괜찮을까
2019.03.24
전선에서만 나오는 특별한 존재가 아니라는 뜻이다. 우리가 항상 접하는 빛(가시
광선
)과 라디오 전파, 병원에서 찍는 X선은 다 전자파의 다른 모습이다. 전자파의 정확한 명칭은 ‘전자기파’인데, 빛을 이루는 알갱이(광자)가 마치 파도가 치듯 주기를 갖고 빛의 속도로 뻗어 나가는 현상을 ... ...
소행성 가보니 다른 곳은 '축축', 한 곳은 '바짝'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공동 개발한 어른 구두상자 크기의 탐사로봇 ‘마스코트’를 내려보내 적외선과 가시
광선
영상을 촬영하고 자기장을 측정했다. 올해 2월 22일에는 가장 중요한 임무인 소행성 표토 시료 채취 임무도 성공했다. 마치 공중에 떠 있던 매가 순간적으로 지상에 내려가 먹이를 낚아채듯, 하야부사2도 짧은 ... ...
나방 눈 구조 모방해 비가 오나 해가 뜨나 전기 생산하는 유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약 100nm 간격으로 무수히 나 있다. 이를 ‘나노필라’ 구조라고 하는데, 돌기 크기가 가시
광선
의 파장보다 짧아 빛이 그냥 통과하고 반사하지 않는다. 연구팀은 이 구조를 흉내 내 약 200nm 간격으로 수백nm 길이의 돌기가 나 있는 새로운 유리를 만들었다. 이 유리는 그냥 봐서는 일반 유리와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2019.03.10
크기의 가상 망원경을 만드는 일이 전파대역에서만 가능해서다. 자외선이나 가시
광선
과 같이 상대적으로 짧은 파장의 빛을 사용해 관측하는 간섭계는 망원경끼리 100m만 떨어져도 영상을 얻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런 차이 때문에 파장이 훨씬 긴 전파대역에서 역설적으로 가장 높은 분해능을 얻을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신생아 황달 생기는 진화적 이유
2019.03.03
2㎎/dL이 넘으면 의학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봐야 합니다. 20㎎/dL이 넘어가면
광선
치료 등 적극적인 개입을 해야 하죠. 빌리루빈은 신생아 초기 ... ...
해왕성 14번째 초미니 위성 발견 “40억 년 전 충돌로 형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밝은 사진이 된다. 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2004~2016년에 걸쳐 해왕성 및 주변을 가시
광선
및 적외선 연속사진으로 찍은 뒤, 위성의 공전속도를 고려해 위성이 이동한 위성 영상 픽셀의 위치를 찾고, 이 픽셀을 기존 위치의 픽셀과 계속 겹치는 방법을 썼다.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실제로는 ... ...
단백질을 색색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진동하면서 강한 전기장을 생성하는 현상이다. 이 현상이 발생하면 금속 위에 가시
광선
대역 파장이 발생해 선명한 색을 띄게 된다. 이 위에 물체를 올려놓으면 물체의 유전율에 따라 색이 바뀐다. 유전율은 전기장이 통과하며 전기장의 세기가 변화하는 비율로 물질마다 다른 고유한 특성이다. ... ...
컬러필터 없는 풀컬러 이미지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9
동시에 달성해 기존 이미지 센서의 구조적 한계를 돌파한 기술적 혁신”이라며 “가시
광선
뿐 아니라 근적외선, 적외선 이미지센서를 활용하는 모바일 기기까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에 참여한 정대성 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와 윤성원 박사과정생. 한국연구재단 제공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