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회의"(으)로 총 1,6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아리 탐방] 대전제일고 M.S.G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운영한다. 어떤 체험을 할지까지 정해야 하기 때문에 네다섯 명씩 조를 짜서 아이디어 회의를 하고 체험할 결과물을 만들어낸다. 이때 좋은 체험 아이디어를 내면 제주수학체험전이나 울산수학체험전, 양산 수학체험전 같은 다른 지역에서 하는 대규모 체험 전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 ... ...
- 이보다 안전할 수 없다 양자암호통신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월 베이징과 오스트리아 빈 사이의 기자7600km 구간을 양자암호통신 방식으로 연결해 화상회의를 하는 데 성공했다. 과학학술지 ‘사이언스’는 이 소식을 커버스토리로 다루며 대서특필했고, ‘네이처’는 2017년 세계 과학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10대 사건 중 하나로 꼽았다. 국내에서는 ...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소한의 윤리적 자세다. 과학동아 2017년 03월호 ‘떠내려가는 회의론 기후변화는 왜 사실인가’ 중 발췌 미국이 파리협정을 안 지켜도 상관없다? VS. 연쇄 파급효과는 무시 못해2017년 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에서 채굴한 원유를 미국으로 운송하는 ... ...
- [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말했다. 연구를 주도한 방경태 연구원은 이 결과를 2016년 12월 ‘국제과학과스키회의(ICSS)’에서 발표해 ‘젊은연구자상’을 받았다. 연구팀은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시뮬레이션한 실험에서도 실제 풍동실험과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선수별 최고 비행거리를 낼 수 있는 자세를 찾기 위해 매번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것은 아니라는 조언도 덧붙였다. 그는 “고등학교에서는 이런 걸 도대체 왜 배우는지 회의적일 때가 많았다”며 “대학에 진학해보니 고등학교 때 배운 기초가 아주 중요하고, 기초가 탄탄해야 새로운 내용을 이해하기 쉽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오 씨는 연구가 좋아서 KAIST에 진학했다. ... ...
- [필즈상 미리보기] 필즈상 0순위, 어린 나이가 변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승승장구했는데, 그 뒤로 최근까지는 괄목한 만한 연구가 보이지 않아 필즈상 수상에 회의적인 입장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도 2017년에는 오랫동안 진전이 없었던 그로텐디크의 표준 가설에 관한 연구를 발표해 존재감을 과시했습니다. 워낙 어려운 분야를 연구해서 그런지 최근에는 연구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7 UN청소년환경총회’에서 미래의 에코리더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요구했어요. 이틀에 걸쳐 진행된 본총회에서는 실제 UN총회의 규율과 형식에 따라 회의를 진행했고, 모두가 최선이라고 생각한 결의안을 채택했어요. 자신이 속한 국가만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국가의 상황도 고려하는 대표단들의 모습이 인상적이었어요. 이번 총회를 통해 서로 배려하고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 25개 국가들은 1884년 10월 1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국제자오선회의를 열고 자오선의 기준을 정했어요. 투표 결과 22표를 얻은 영국의 자오선이 ‘본초자오선’으로 정해졌답니다. 한편, 본초자오선은 세계 시간의 기준이 되는 곳이기도 해요. 지구는 하루에 한 바퀴씩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원자력안전위원회와 같은 형태의 대통령 직속 생물방어위원회의 설치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말했다. 북 보유 13종 중 가장 위험한 4종 후보물질 1 탄저균(Bacillus anthracis)탄저균은 북한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가장 큰 고위험 병원체다. 탄저균은 살아있는 숙주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박사후연구원, 박사과정 학생 등 적게는 20명, 많게는 50명으로 이뤄져 있다. 막스플랑크협회의 가장 기본이 되는 연구 조직이 연구그룹이다. 현재 이런 연구그룹은 막스플랑크협회를 통틀어 120여 개가 있다. 연구그룹 하나는 최대 5년간 유지된다. 연구그룹별 연구 주제는 모두 다르다. 2013년부터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