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부론
해부
d라이브러리
"
해부학
"(으)로 총 440건 검색되었습니다.
너무나 엽기적인 그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이탈리아가 낳은 세계적인 천재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그림 한점에서 시작됐다. 다빈치는
해부학
에 조예가 깊어서 동물은 물론 인간에 대한 정밀한 해부도를 그리기도 했는데, 1493년에 그린 ‘성교’(copulation)라는 해부도는 남녀가 성행위를 하고 있을 때 남자의 성기가 여성의 질 속에 삽입된 모습을 ... ...
여성이 남성보다 뛰어난 6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여성)이란 여성(남성)에 대응하는 개념’이란 모호한 설명에서 시작해 생식기관에 관한
해부학
적 모식도나 생리현상에 대한 설명이 딱딱하게 나열돼 있는 정도다.그런데 최근 생명과학이 발달하면서 인간 게놈의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인간이란 생명체가 갖는 모든 유전정보를 낱낱이 밝히면서 ... ...
휴대폰 전자파 인체에 얼마나 흡수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인체에 노출된 상태에 가깝도록 재연해내는 것이다. 자기공명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해부학
적 모델을 통해 인체 각 부위의 전자기장을 계산하여 시뮬레이션을 하는 방식이다. 인체의 각 부위를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통해 인체 각 조직의 전기전도도와 밀도를 알아낸 후 이에 맞춰 인체를 격자구조로 ... ...
1. 몸은 남성 마음은 여성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과학자들은 유전적 이상에 대한 연구에서
해부학
, 생리학 분야로 눈을 돌렸고, 특히 ‘뇌’에 집중했다.삼성 서울병원 임상병리학과 김종원 교수는 “인간의 뇌는 발생초기에 남녀 모두 여성의 뇌 구조를 갖고 있다. 이것이 남성의 뇌로 바뀌기 위해서는 ... ...
김대건 신부 생전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김 신부의 머리뼈를 이용한다면 좀더 충실한 모습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얼굴복원술은
해부학
에 바탕을 둔 의학적 전문지식과 미술 및 컴퓨터 분야의 기술이 함께 어우러져야 하는 복합적인 연구다.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있는 만큼 앞으로 관심있는 과학자와 전문가의 합동연구가 절실하다. ... ...
가짜 화석에 울고 웃는 전세계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턱이 끼워진 가짜라는 사실이 밝혀진 것은 1953년으로 무려 40년의 세월이 흐른 뒤였다.
해부학
에 능하지 않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필트다운인(Piltdown Man) 화석을 자세히 살펴보면 자연스럽지 않은 점을 찾을 수 있다. 어설프게 대조되는 머리뼈와 턱 색깔에 의해 구별할 수 있는 것. 척추동물학자라면 ... ...
진화의 일등공신 엄지손가락 제2의 뇌 손의 신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유전병 진단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아주대
해부학
과 정민석 교수는 “손금만으로 유전병을 100% 진단할 수 없지만, 다운증후군 환자의 경우 원숭이손금이 나타날 확률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한편 이유나 과학적 근거가 알려지지 않았지만, 손가락과 손바닥의 ... ...
향수감별사가 손 휘저으며 냄새 맡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화장품을 사용할 때 섹시함을 느낀다고 답변했다.냄새가 감정과 연결돼 있다는 것은
해부학
적으로도 알 수 있다. 생명체에서 후각시스템은 대뇌 변연계와 직접 맞닿아 있다. 이 대뇌 변연계는 감정을 다스리는 중추인 소뇌 편도선과 기억 중추인 해마질과 연결돼 있다.달콤한 디저트도 얼리면 ... ...
파멸로 치닫는 투명인간의 욕망 할로우 맨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전극을 꽂지 않고 있는데, 뇌파나 뇌전도도를 보는 장면이 있어요. 전극을 꽂고 있으면
해부학
적 명장면이 손상되기 때문에 일부러 그렇게 표현한 것이죠.상준_ 영화에 또다른 옥에 티는 없었나요?정교수_ 주인공이 불에 뎄을 때 덴 부분이 떨어져 나오는 것도 잘못됐어요. 불에 데는 것은 단백질이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인간에 비해 4-8배나 멀리 있는 사물을 볼 수 있는 날카로운 시각을 가지고 있다.
해부학
적으로 새의 머리에서 눈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크다. 눈이 크면 시각 정보를 축적할 영역이 넓기 때문에 그만큼 더 유리하다.새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시각을 자랑하는 종류는 바로 매다. 매는 높은 하늘을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