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소
수축
단축
삭감
쇼트닝
절감
제한
d라이브러리
"
축소
"(으)로 총 665건 검색되었습니다.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남극관이 점점 줄어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장기간 관측을 행해보면 극관의 면적이
축소
되면서 분리되거나 소멸되는 신기한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화성의 표면을 관측할 때에는 지표면의 모양과 대기 변화에 주목한다. 옛날 관측가들이 화성에 운하가 있다고 착각할 만큼 표면에는 붉은 배경에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세포 사이에 얼음이 형성된다. 그 결과 세포는 팽창하기보다는 오히려
축소
된다. 세포가
축소
되면서 세포막에 변화가 발생해 결국 세포가 죽게 되는 것이다.이러한 냉동보존의 결과는 가령 콩팥이나 배아의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것이므로 곧바로 뇌에 적용될 수는 없다. 뇌를 냉동했을 때 각 부위의 ... ...
뉴기니와 아즈텍의 엽기적 식인 풍습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고대 국가 사회가 출현하면서 이렇듯 상징적인 식인 혹은 식신 행위마저 희생 제물이
축소
돼버렸다. 이를테면 카톨릭교에서 행해지는 성체 의례는 예수가 이승에서 제자들과 가진 마지막 만찬에서 빵을 인간의 속죄를 위해 바친 자신의 살로, 그리고 포도주를 그렇게 흘린 자신의 피로 알라는 말을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첨단기술을 이전받았다는 얘기다. 흥미롭게도 현재 김 교수는 구경 30cm짜리 갤렉스의
축소
판을 국내에서 제작중이다. 앞으로 기회만 된다면 이것을 우주에 띄워볼 수 있지 않을까. 아니면 갤렉스보다 더 큰 자외선우주망원경을 개발할 수도 있을지 모른다. 우리 천문학자의 꿈과 능력은 더욱 커져만 ... ...
컬럼비아호 잔해 2만개 조각맞추기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비례(마이어페리의 실험)하므로 일정한 하중 하에서는 온도의 상승에 따라 길이가
축소
되며 단열적으로 늘어날 때 발열한다 이 사실을 열역학적으로 설명하면 신장할 때의 엔트로피 감소가 탄성력의 기원임을 뜻하고 보통의 고체탄성이 내부에너지의 변화에 따르는 것과 전혀 내용이 다르며 오히려 ... ...
봄철 대표하는 은하 한쌍 M81과 M82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1이 안드로메다은하와 매우 유사하다는 사실을 발견했으며, 이 은하를 안드로메다은하의
축소
판이라고 불렀다. M81은 전형적인 나선은하의 모습을 하고 있다. 그 모습은 우리은하와도 유사해 우리은하의 모습을 상상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불규칙은하인 M82는 망원경에서 다소 특이한 모습을 하고 ... ...
1. 원자세계 조작하는 21세기 연금술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이후 집적화가 꾸준히 이뤄졌다. 칩의 크기는 별로 줄어들지 않았으나 소자 선폭을
축소
함으로써 그 안에 집적돼 있는 소자수가 획기적으로 증가됐다. 이 과정에서 전문가들은 많은 한계에 봉착했으나 매번 새로운 기술의 개발로 이를 극복했다. 고진공기술, 이온빔기술, 플라스마 증착기술, ... ...
장거리 여행객 위협하는 이코노미클래스 신드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그 회전축은 지축과 일치돼 있었다 이 기계는 천구 위에 보이는 천체들의 운동을
축소
해 옮긴 것이다책과 같이 앞에서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정보를 얻는 것이 아니라 내용을 일정한 순서 없이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텍스트 문서 내에 있는 키워드나 특정한 단어가 다른 문서나 ... ...
분뇨에서 노다지 캐는 환경공학자 박완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하수처리장 등을 돌며 채집해온 것들이다.실험실 중앙 테이블에는 작은 통들로 연결된
축소
판 정화시설이 배치돼 있다. 악취를 풍기던 오물 샘플은 1차로 미생물 희석액과 혼합된다. 그 결과 냄새와 유해성분이 사라진다. 이어 2-3단계를 거치면서 각종 침전물이 제거돼 마지막 통에는 맑은 물이 똑똑 ... ...
섹시한 냄새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하여 큰 극관이 위도 50˚근방까지 퍼져서 빛난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극관은 급속히
축소
되며 많은 구름이 발생한다 늦여름이 되면 극관은 거의 완전히 없어져 버리고 겨울이 되면 극지가 안개로 덮히게 된다 그리고 다시 봄이 되면 겨울의 안개가 걷히고 크고 빛나는 새로운 극관이 나타난다 이것이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