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테나
더듬이
공중
안테너
말더듬이
뿔
촉수
d라이브러리
"
촉각
"(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체처럼 환경변화에 감지·적응 능력지닌 21세기 신소재 「스마트 재료」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깨지기 쉬워 최근에는 고분자재료로도 만들어지고 있다. 압전재료로 만들어진 센서는
촉각
온도 및 변형량 감지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열발생이 거의 없으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광섬유(optical fiber)는 빛을 전달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것은 유리성분인 고순도 실리카에 ... ...
2010 지능로봇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등 단순 동작을 반복하는 이른바 1세대 로봇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에는 힘 회전력
촉각
시각 등의 감각 기능을 갖추어 환경 변화에 유연성있게 대처할 수 있는 2세대 로봇도 실용화되고 있다. 이동성을 갖는 로봇은 아직 실용화 단계에 이르지는 못했으나 매우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 ...
원격조종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들 수 있고, 인간의 촉감기능으로써 팔/손목부위의 힘/토크 감지기능, 각 손가락의
촉각
압력 감지 기능을 들 수 있다.이를 도표화 하면 (표 2)와 같다. 로봇의 운동을 유도하기 위해 마스터 방식의 보조로봇 대신 데이터 글로브를 끼고 팔을 움직임으로써 글로브에 부착된 좌표측정센서가 손의 ... ...
노란띠 하늘소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이렇게 어른벌게가 된 다음에 먹이를 먹는 것은 후식(後食)이라고 한다. 머리 앞가슴
촉각
의 자루마디는 짙은 남색이며, 광택이 나는 딱지날개면에는 두줄의 폭이 넓은 노란띠 모양의 반문(斑紋)이 있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한반도 전역에 넓게 분포한다. 몸의 길이는 17~21mm정도 ... ...
4. 이상뇌파로 질병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증가 또는 감소돼 있는 경우, 비정상상태로 간주할 수 있다. 뇌파는 외부자극(시각 청각
촉각
등)에 대해서 반응이 대부분 정상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반응이 전혀 없거나 좌우측의 차이가 심한 경우 뭔가 이상이 생긴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좌우뇌파가 비대칭이면…대뇌는 좌우측 대칭적인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있고 자원탐사위성은 어느 곳의 삼림이 훼손되는지, 고기떼가 어디로 이동하는지
촉각
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러한 위성들을 쏘아올리는 로켓개발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하면서 로켓개발은 더이상 '밑빠진 독'이 아니며 구체적인 성과가 눈에 보이고 돈도 벌 수 있는 분야가 됐다. 오히려 로켓을 ... ...
경제개발·환경보존 두 토끼 동시에 잡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어떻게 하면 첩첩산중으로 가로놓인 국제협약에서 유리한 조건을 확보할 것인가에
촉각
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볼때 문제의 핵심은 외교적인 수완으로 경제압박을 용케 피해가는 것이 아니라 차제에 환경을 경제적 비용의 일부로 생각하는 새로운 체제로 우리의 산업구조 자체를 ... ...
화면속에 뛰어들어 실제체험 느끼는 가상현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발상과 진전은 놀랄만한 미래를 예고하고 있다. 인간의 오감, 즉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을 완전히 속여 그야말로 현실과 구분이 불가능한 가짜 현실이 우리에게 나타난다면 어떻게 될까. 이미 고인이 된 모차르트가 다시 살아나 피아노를 치게 될지도 모르고 극성맞은 팬들이 죽은 엘비스 ... ...
네손가락으로 글씨 쓰는 로봇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단단한 정도에 따라 손가락에 힘이 들어가는 방향이 조절된다. 마치 손가락이
촉각
을 가진 것처럼 생각하면 된다.이 로봇은 전시회장의 관중들앞에서 훌륭한 솜씨를 선보였다. 많은 연습을 거쳤겠지만(정교한 프로그램) 회사이름(東芝)을 반복해서 정성껏 써내려갔다. 이를 본 한 관계자는 "아직 ... ...
캄브리아기 생물 대번성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형태를 보여준다. 여러 개의 마디로 이뤄진 등껍질은 머리 몸통 꼬리로 나뉘며 배면에는
촉각
과 다리가 달려 있다. 크기는 수mm에서 수십cm에 이른다.삼엽충은 탈피를 통해 성장하게 되므로 탈피한 후 남긴 껍질이 무수하게 화석으로 남아 있다. 이들중에는 캄브리아기의 해저를 기어다니면서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