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종"(으)로 총 1,0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말과 친구가 되는 롤플레이 테마파크 위니월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VR기기로 사방을 둘러본 후 고장난 태양전지판을 발견한 친구들은 컨트롤러를 빠르게 조종했어요. 태양전지판 앞까지 도착해서 교체 버튼을 누르면 미션 성공!깜깜한 바다 밑까지 내려가 보자!우주 체험에 이어 이번엔 해저 탐험이 기다리고 있었어요. 해양 연구소는 해양 과학자가 되어 볼 수 있는 ... ...
- [과학뉴스] 거대로봇 대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애니메이션에서 사람이 직접 타고 조종하거나,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하거나 또는 말을 알아듣고 움직이는 거대 로봇을 본 적이 있는가. 놀랍게도 어릴 적 꿈꿨던 거대 로봇이 나타났다! 미국과 일본, 그리고 국내에서 탄생한 로봇을 만나보자. ▼관련기사를 보시려면? [Future] 큰 녀석들의 전쟁,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한다. 게다가 스스로 사물을 인지하는 능력이 없다. 외부에서 사람이 명령을 내려 조종해야 한다.사람은 인지능력과 사고능력, 운동능력이 있다. 로봇이 사람처럼 인지하고 생각하고 행동하려면 이 세 가지 능력을 모두 갖춰야 하고, 또 서로 조화를 이뤄야 한다. 전문가들은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 ...
- [핫이슈] 드론 조종부터 우주 비행사 체험까지! 제주항공우주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전 토막상식1 프로펠러의 힘으로 어디든 가는 드론!드론은 무선으로 조종할 수 있는 무인 항공기예요. 작은 크기와 재빠른 몸놀림으로 여러 임무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크게 주목받고 있지요. 배달이나 공중 촬영뿐만 아니라 인명 구조나 해충 채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 중이랍니다. ... ...
- [게임카페] 피하고 맞추고 탑다운 슈터 피하고 맞추고 上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위한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이 질문으로부터 ‘스마트폰 화면 터치를 통해 비행기를 조종해 레이저를 쏘아 적 비행기를 격추하고, 적 비행기 또는 레이저를 피하는 게임’과 같은 세부 내용을 정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화면 구성과 전개 방식에 따른 모양새를 상상해 구체화합니다. 이렇게 모호한 ...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많았다”고 말했다.연구팀은 다음 단계로 마이크로 로봇을 넣고 생체내에서 직접 조종해 보는 동물 실험을 준비하고 있다. 또 용도별로 다른 기능을 가진 마이크로 로봇도 만들고 있다. 예컨대 원하는 위치에 도착한 뒤 약물이 포장된 물질을 내려놓고 배출되는 로봇이나, 목적지에 도착한 뒤 녹아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집중이 잘 될 때의 내적 상태를 기억하면, 다음에는 스스로 그런 상태가 되도록 뇌파를 조종할 수 있다. 더 반복하면 해당 부위의 뇌가 긍정적인 뇌파(낮은 베타파)를 잘 유지하도록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는 이것을 “뇌의 가소성을 활용한 ‘뉴로피드백’ 훈련”이라고 설명했다.이 ... ...
- [도전! 코드 마스터] 사이버테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보내요. 이런 식으로 좀비컴퓨터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되지요.좀비 컴퓨터를 원격조종해서 일으키는 ‘디도스(DDoS)공격’도 사이버테러 방법 중 하나예요. 디도스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의 줄임말이에요. 보통 시스템이 사용할 수 있는 정보망의 갯수나 디스크 공간은 한정돼 있어요. ... ...
- Part 3. 페달을 밟아 하늘을 나는 인간동력 항공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인간동력 항공기의 날개가 커진 이유는?“난다! 난다!”지난 2015년 가을 고흥항공센터. 조종사의 발놀림과 함께 앞으로 질주하던 비행기의 양날개가 활처럼 굽어지는 순간, 비행기가 공중으로 ‘붕’ 하고 떠올랐어요. 5m 남짓 떠오른 비행기는 10여 초 동안 45m를 날아간 뒤, 활주로 옆의 풀밭에 ... ...
- Part 3. 혈관 속을 누비는 로봇 의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최홍수 교수님은 “섬모 마이크로 로봇은 움직임으로 글씨를 쓸 수 있을 만큼 정밀하게 조종할 수 있”며, “앞으로 몸 안에서 임무를 수행한 뒤 저절로 녹아 사라지는 마이크로 로봇도 개발할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꿀꺽 삼키면 치료가 싹~! 마이크로 로봇Part 1.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