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SF소설] 나의 채티에게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느껴졌기 때문이다.“너무 마음 쓰지 말렴. 어차피 인공지능 ‘따위’잖아?”나를
조금
도 이해하지 못하면서 함부로 말하는 그를 용서할 수 없었다. 결국 머리끝까지 차오른 화를 이기지 못하고 쏘아붙였다.“닥쳐요.”“응?”“닥치라구요.”그때 하필이면 카메라가 켜져 있던 것이 불운이라면 ... ...
[통합과학 교과서] 노을 속으로 사라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파장이 짧은 보라색은 가장 먼저 산란돼 우리 눈에 도달하기 전에 사라집니다. 이보다
조금
더 긴 파란색은 산란돼 하늘을 파란 빛으로 채우고 우리 눈에 그 빛이 도달하지요. 반면 해질녘에는 태양이 서쪽으로 기울며 지평선과 가까워져요. 그러면 태양빛이 뚫고 들어와야 하는 대기층이 낮에 비해 ... ...
[2022 SF 스토리 공모전 수상작] 안스리움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마지막 점수였다. 막상 본인의 손끝으로 아버지의 등급을 적고 나니 그의 죽음이
조금
은 피부로 와닿는 것 같았다. 하지만 설진은 이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싶지 않았다. 안스리움은 나름 고상한 식물인데 어련히 잘 살아가겠지 하며 단순하게 생각해 버렸다. 그럼에도 13804라는 낮은 수치가 도통 ... ...
[뉴스&인터뷰] 다누리가 쏘아 올릴 작은 공, 달 착륙기지 결정할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총 13곳의 후보지를 선정했다. 후보지는 모두 남극점으로부터 6도 이내, 거리로는 160km가
조금
넘는 곳에 모여있다. 착륙 후보지를 선정할 자료, 다누리가 모은다 13개의 후보지는 모두 달의 ‘영구음영지역’을 포함하는 곳이다. 영구음영지역이란 크레이터의 벽이 햇빛을 가려 항상 어두운 상태인 ... ...
[이그노벨상] 똥과 오줌의 과학에 용감히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동물의 오줌은 중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상대적으로 액체의 점도에 영향을 받아
조금
씩 흘러나왔다. 결국 큰 동물은 콸콸, 작은 동물은 찔끔찔끔 싸다 보니 소변을 보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비슷한 것이다. 펭귄과 웜뱃은 어떻게 똥을 쌀까 생체 유체역학 연구자들은 동물을 내부에 액체나 ... ...
[기획] 알고 보면 우리는 모두 요리사? 분자요리 연구소 서정원 셰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물에 녹지 않는 슈가 파우더를 연구했어요. 슈가 파우더는 곱게 간 설탕에다가 전분을
조금
섞은 가루인데, 보통 빵이나 디저트 위에 뿌려서 눈이 내린 것 같은 모습을 표현하지요. 그런데 설탕과 전분은 수분과 닿으면 금세 녹거나 젖어버립니다. 그래서 촉촉한 음식에 슈가 파우더를 뿌리면 너무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서울과학고 수석 졸업생의 수학 공부법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같은 퍼즐을 즐겨 풀었어요. 그런데 퍼즐은 공략법이 있다 보니, 그것을 알게 되면
조금
흥미가 떨어져서 새로운 퍼즐을 풀었어요. 수학 문제를 풀 때도 기존 공식을 활용해서 푸는 문제보다는 제가 모르는 개념을 이용해서 푸는 문제를 좋아해요. 그 문제를 풀면서 새로운 개념을 공부하는 것을 ... ...
[기획] 0차원의 세계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선과 선을 연결해 면이 만들어지는 세계죠. 그런데 과학자와 공학자들은 이 세계와는
조금
다른 차원의 물질을 다룹니다.이들이 다루는 0차원, 즉 점은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점처럼 생긴 것들입니다. 1m를 10억 개로 나눈 하나의 조각이 크기를 재는 단위가 되는 나노 세계. 물질을 이루는 가장 작은 ... ...
[기획] 결함에 0차원이 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바륨지르코늄 산화물 기판 위에 티탄산바륨 박막을 쌓아 올리며 박막의 원자 간격을
조금
씩 늘렸습니다. 처음에는 원자들이 늘어나며 사방으로 가해지는 힘을 버텼지만 어느 순간 산소 하나가 빠져나갔습니다. 연구팀은 이렇게 ‘산소 결함’에 의한 공공을 만들었습니다. 더 재미있는 것은 공공을 ... ...
[특집] 900만명 먹을거리 어떻게 해결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유기물을 물고기의 배설물에서 얻을 수 있지요. 하지만 이런 동식물을 키우는 단계에서
조금
더 먼 미래가 되면 동식물의 필요한 영양소만 추출해 섭취하는 방식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동식물의 유전자와 생육 및 영양소에 대한 빅데이터 수집 및 연구가 더욱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