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러스트"(으)로 총 8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오호~.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외계행성이 따로 있었군. 지구에서는 우주로 직접 외계행성 찾는 망원경을 보내기도 한다던데, 정말일까?  수천 개의 외계행성을 찾아낸 우주망원경!2009년 발사된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지름 2.7m, 길이 4.7m의 원통 모양으로, 약 10만 개의 중심별을 29분마 ...  ...
                            
 
                        
                        
                                            
                                                            
                                                             - 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24시간 외계행성을 찾는다! 2013년에 방영한 드라마  주인공 도민준의 고향이었던 외계행성을 기억하나요? 한국외계행성탐색시스템의 약자 ‘KMTNet’에서 이름을 딴 ‘KMT 184.05’였지요. KMTNet은 외계행성을 찾기 위한 우리나라의 관측 시스템이에요. 남아프리카공화국과 호주,  ...  ...
                            
 
                        
                        
                                            
                                                            
                                                             - Part 1. 더 튼튼하게, 더 멀리! 바퀴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실 바퀴는 인류가 만든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로 꼽혀. 만약 바퀴가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우리는 무거운 짐도 제대로 나를 수 없었을 걸~!  세상을 바꾼 ‘바퀴’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 어린이들이 즐겨 타는 킥보드, 스마트 모빌리티까지…. 우리 주변의 탈것들은 대부분 바퀴를 이용해 움 ...  ...
                            
 
                        
                        
                                            
                                                            
                                                             - Intro. 수학으로 쌓아올린 미래도시, 초고층건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멀리서 보면 얼핏 땅바닥에 꽂힌 가느다란 막대기처럼 보이는 초고층건물. 하늘을 찌를 듯이 높이 솟아있는 건물이 어떻게 똑바로 서 있는 걸까? 안전하기는 한 걸까? 혹시 대기권을 넘어 우주까지 높이 지을 수는 없는 걸까? 초고층건물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하고,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 ...  ...
                            
 
                        
                        
                                            
                                                            
                                                             - Part 4. 바람에 넘어가진 않을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실 초고층건물을 가장 위협하는 건 지진보다 바람이다. 바람의 세기는 땅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급격히 커지기 때문이다. 바람의 영향을 덜 받기 위해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건, 초고층건물을 위로 갈수록 뾰족하게 설계하는 것이다. 위로 갈수록 강해지는 바람에 닿는 면적을 줄이는 것이 ...  ...
                            
 
                        
                        
                                            
                                                            
                                                             - [필즈상] 미분기하학 분야 필즈상 0순위, 시몬 브렌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편집자 주2018년 8월 1일 열리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세계수학자대회 개막식에서 만 40세 미만의 젊은 수학자가 받을 수 있는 최고 영예, 필즈상 수상자가 정해 집니다. 올해는 누가 수상의 영광을 누리게 될까요? 7개월간 필즈상 후보자 10명을 뽑아 소개합니다.   미분기하학 분야에서 필즈상 수 ...  ...
                            
 
                        
                        
                                            
                                                            
                                                             - 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독일의 수학자 게오르크 칸토어가 수백 년간 아무도 입 밖으로 꺼내지 않았던 단어, ‘무한’을 언급하면서 세 번째 격투가 시작됐다. 칸토어는 원소의 개수가 무한히 많더라도 셀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물론 모두 셀 수 있는 건 아니다. 스스로 공들여 고안한 방법으로 무한 집합의 크기도 쉽 ...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100여 년 동안 유전학자들이 추측만 하던 문제가 어느 정도 풀렸습니다. 코 모양이 기후와 관련이 있다는 내용인데요. 춥고 건조한 지역에 사는 사람의 콧구멍은 좁고 길쭉하고, 덥고 습한 지역에 사는 사람의 콧구멍은 넓고 짧게 진화했다는 겁니다. 간단해 보이는 이 가설을 증명하는 데 왜 그렇게  ...  ...
                            
 
                        
                        
                                            
                                                            
                                                             - [감수성] 수학의 일상수학동아                                        l2018년 07호
 
                            -  ...
                            
 
                        
                        
                                            
                                                            
                                                             - Intro. 제2의 지구를 찾아라! 행성 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후훗! 나는야, 전 우주를 누비며 외계행성을 찾는 행성사냥꾼! 망원경과 좌표계만으로 수많은 외계행성을 찾았지. 외계행성에서 생명체를 찾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그런데 지구에도 행성사냥꾼이 있다면서? 나보다 뛰어난 행성사냥꾼이 있는지 확인하러 얼른 가봐야겠군!   ▼관련기사를 계속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