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리
음향
사운드
음
재생음
초음파
초음속
d라이브러리
"
음파
"(으)로 총 736건 검색되었습니다.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둘 사이의 거리가 2000m 떨어져 있을 경우 오차는 6m 정도다. 박쥐가 동굴 벽에 반사된 초
음파
가 두 귀에 도달하는 차이를 이용해 위치 정보를 얻는 것과 같은 원리다.김 박사는 “이전 탐사에서는 배가 지나가다 해저 카메라로 흥미로운 영상을 찍어도 다시 그 지점을 찾지 못한 적이 한두 번이 ... ...
세계적 여자 육상선수 세메냐, 결국 남자?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생화학 및 내분비학 검사가 이뤄진다.골반 내에 자궁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초
음파
검사를 하기도 한다. 사실 성분화 이상, 즉 비정상적인 성분화 발달은 드물긴 하지만 그렇다고 특별한 병은 아니다. 손가락 성장이 잘못되면 육손이 되듯이 성분화 이상은 생식기 계통의 발달이 미완성돼 ... ...
패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운동법칙과 중력법칙은 다른 자연현상을 설명하는 출발점이 됐다. 열전도의 비율,
음파
의 파동 방정식, 전자기파의 발견, 그리고 무엇보다 물체의 질량과 에너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아인슈타인의 방정식(E=mc²)은 뉴턴이 목표로 했던 자연에 대한 수학적 이해에 기초를 두고 있다.사회는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바꿔치기한 실험결과를 담은 논문이 실렸다. 이에 따르면 사람의 유전자를 받은 쥐는 초
음파
영역에서 내는 ‘찍찍’거리는 소리가 바뀌었고 뇌 기저핵 부분의 신경회로가 변화됐다. 바뀐 아미노산이 실제로 단백질의 기능을 변화시켰음을 암시하는 결과다.기저핵은 대뇌반구의 안쪽과 밑면에 ... ...
한 달에 한 번 마녀 되는 '두 얼굴'의 여친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면을 매끄럽게 만들어 빛이 산란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서다. 권자영 교수는 “초
음파
검사로 대부분의 질환을 진단할 수 있어 자궁암이나 난소암 같은 심각한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만 내진을 한다”고 밝혔다. 그는“생리불순이나 심한 생리통 때문에 고민하면서도 진찰을 받지 않아 병을 키우는 ... ...
북한 2차 핵실험의 쟁점4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를 설치하면 인공지진을 탐지할 수 있다.지진파 전문가들은 “지진파나 저주파, 수중
음파
를 분석하면 인공지진을 자연지진과 구별할 수 있지만 인공지진이 실제로 핵실험 때 생긴 것인지 다이나마이트와 같은 재래식 폭약을 터뜨려 생긴 것인지 구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고 설명했다.북한 ... ...
[지구과학]바닷물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바닷물은 어는점이 강물이나 순수한 물보다 낮다. 바닷물에는 수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수온약층과 밀도가 급격히 커지는 밀도약층이 있다. 수 ... 탐지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따르므로, 소리를 통해 사물의 접근을 인식할 경우 이렇게
음파
가 교란되는 구역 내로 이동하면 발견하기 힘들다 ... ...
생활 속 압력과 전기의 소통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압전체를 이용해 제작된 ‘후방 거리 경보기’(후방 감지기)다. 이 경보기는 압전체로 초
음파
를 만들어 보냈다가 장애물에 부딪혀 반사된 뒤 다시 압전체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차 뒤에 있는 물체와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소리로 알려주는 장치다.요즘은 압전체가 자동차에도 많이 사용되고 ... ...
만져라, 느껴라! 신나는 터치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의사는 수술을 연습할 수 있다. 만지는 영상이 나온다일본 동경대의 한 연구팀은 초
음파
를 쏘아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장치를 개발했다. 터치 스크린이나 홀로그램에 손을 대면 실제로 만지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게된 것이다. 미래에는 박물관에서 단순히 유물이나 예술작품을 보는 데 ... ...
[나노기술]마이크로입자 붙잡는 ‘나노밧줄’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나노밧줄’을 만들었다. 이때 작은 입자가 있으면 그 주변을 둘러싸 꽉 붙잡는데, 초
음파
진동에도 끄떡하지 않았다. 대신 용액의 pH를 바꿔 주면 밧줄이 풀리면서 입자가 자유로워진다. 연구자들은 이 기술을 약물전달시스템(DDS)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나노밧줄에 약물이 들어 있는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