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반려동물에 채식 권하면 안 되는 이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세상을 인간의 입장에서 판단하며 겪는 오류와 편견을 뜻한다. 개와 고양이는 유전학적으로 엄연히 거리가 먼 동물이다. 개는 무리를 지어 다니는 늑대의 후손이고, 고양이는 홀로 돌아다니는 아프리카 들고양이의 후손이다. 집고양이는 약 1만 년 전에 최초로 출현했으나, 개는 4만 년 동안 인간 ... ...
- [만화 뉴스] 수수께끼는 풀렸다! 증거는 공기 중에 있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지난 3월 31일, 영국 퀸메리대학교 엘리자베스 클레어 교수팀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환경 DNA●를 채집해서 어떤 동물의 DNA인지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 연구 ... DNA : 생명체에서 직접 채취한 것이 아닌 물이나 토양, 공기 등에서 간접적으로 채취한 유전 물질. eDNA라고도 한다 ... ...
- [SF 소설] 목가와 숙녀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것들이 신경 쓰이기 시작했다. 이를테면 내 몸이 그랬다. 부모님이 물려주신 내 몸. 유전자편집 같은 건 되지 않은, 우연적으로 조합됐을 나의 몸. 리아에 비하면 나는 누가 아무렇게나 빚다 말고 던져놓은 찰흙 덩어리 같은 존재였다. 여태까지는 한 번도 나의 그런 점을 부끄럽게 여겨본 적이 ... ...
- [한페이지 뉴스] 단백질 구조 예측 AI 소스 모두에게 공개되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doi: 10.1038/s41586-021-03819-2 공개한 자료에는 인간 유전체에 기록된 단백질 2만여 개와 생물 20종의 단백질 구조가 포함됐다. 이번에 공개된 알파폴드2의 소스 코드는 알고리즘을 간소화해 CASP14에 참가했을 때보다 예측 시간이 16배 빨라졌다. 같은 날, 알파폴드2에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세계 네 번째로 구축한 코로나19 영장류 감염 모델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하기 매우 위험한 질환에 대해서는 쥐보다 유전적으로 사람과 훨씬 유사한 영장류를 대상으로 전임상시험을 해 더 높은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6년 미국식품의약국(FDA)은 토끼 및 영장류 실험만으로 효능을 입증한 탄저병 치료제를 승인하기도 ... ...
- [과학뉴스] 밤바다에서 어린 물고기가 반짝반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올라와 활동하거든요. 연구팀은 바닷속에서 만난 자어들의 모습을 촬영하고 채집한 뒤, 유전자를 분석해 어떤 물고기인지 확인했어요. 그 결과, 이전에 표본으로 만들어 두었던 자어의 모습과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예를 들어, 홍투라치의 자어는 표본에서 볼 수 없었던 길고 가는 ... ...
- [가상 인터뷰] 스트레스를 받으면 머리카락이 빠지는 진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휴지기에 있는 모낭의 비율은 두피의 약 10%야. 그런데 나이가 들거나 모발 생성에 관련된 유전자가 억제되는 등 모낭줄기세포의 휴지기가 길어지면 머리카락이 없는 모낭의 비율이 늘어나지. 그래서 머리카락의 수가 줄어드는 거야.Q 스트레스도 탈모의 원인이라고?A 3월 31일, 미국 하버드대학교 ... ...
- [한페이지 뉴스] 100년 전 발견된 식물 알고 보니 곤충 킬러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트리안타 오시덴탈리스의 유전체를 분석하던 중 광합성에 필요한 전자 흐름을 조절하는 유전자 NDH-1이 결손된 것을 확인했다. 식충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 식물에게서 흔히 일어나는 돌연변이 중 하나다. 더욱이 트리안타 오시덴탈리스가 주로 서식하는 지역은 양분이 부족한 습지인 만큼 식충을 할 ... ...
- 베스트셀러 소재의 새로운 사후세계에 관한 세 가지 고찰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화학물질을 만드는 작은 공장이라 할 수 있어. 우린 그중에서도 미생물을 이용하지.” 유전자를 조작하거나 화학물질을 첨가해 미생물로 다양한 화학물질을 만들던 연구실이었다. 5L짜리 반응기에 가득 담겨 약의 원료나 유기 용매 등을 만들어내는 대장균을 보며 당시엔 ‘미생물 학대 아닌가’란 ... ...
- [이달의 책] 인공지능과 공존하고 싶은 인간을 위한 지침서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저자는 적게 먹고 많이 운동하라는 식의 논리로는 비만을 설명할 수 없다고 말한다. 유전자와 호르몬이 관여하는 복잡한 문제라는 것이다. 또 생활환경과 지리적 요소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실제 비만의 세계는 ‘먹으면 찐다’는 단순한 이론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복잡성이 지배한다. 일례로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