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다양
d라이브러리
"
여럿
"(으)로 총 622건 검색되었습니다.
마트와 적립카드, 수학으로 엮인 사연은?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계절에 맞게 제철 과일인 귤 쿠폰도 있었다. 크리스마스 때 선물로 주면 좋을 물건들도
여럿
있었다. 신문에 같이 끼어 들어오는 큼지막한 전단지에서는 볼 수 없었던 맞춤 쿠폰이다. 이런 쿠폰에 수학이 있다.맞춤 쿠폰의 비밀마트에서 어머니에게 딱 맞는 쿠폰을 보낼 수 있는 이유는 적립카드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관측되기 어렵다. 그런데 실제로 평균 40GeV의 에너지를 가진것으로 추정되는 중성미자가
여럿
관측됐다. 따라서 중성미자의 속도에 비해 에너지분포가 변하지 않아 기존 이론과 직접적인 모순이 일어났다.2 우주 중성미자 관측 결과와 달라우주에서 날아온 중성미자의 관측 결과도 실험 결과에 ... ...
[수학영재캠프] 가위바위보 효율 높이기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하나뿐인 수(p2 꼴)는 조를 나누는 방법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없겠지만, 그런 약수가
여럿
있는 수는 어떻게 조를 나눌지 고민을 하게 될 수도 있다.문제 46명이 가위바위보를 하여 승자 한 사람을 뽑으려고 한다.(1) 3명씩의 2개 조로 나누어 가위바위보를 할 때,(2) 2명씩의 3개 조로 나누어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발전이 많았다고 밝혔다. 새로운 물질이 많이 발견돼 베임 교수가 개정판을 낼 때는
여럿
추가해야 했다. 연구 주제도 훨씬 다양해졌다.“눈부시게 변한 것은 응용 분야입니다. 1930년대만 해도 휴대전화 같이 작은 전자시스템이 가능할 거라 생각하지 못했어요. 하지만 트랜지스터를 거쳐 양자역학을 ... ...
비닐에서 LCD까지, 미세 가공을 부탁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비닐에 구멍을 뚫는 대신 보이지 않는 작은 홈을
여럿
낸 것. 구멍은 없지만 홈이 난 부분은 비닐이 얇아져 적당하게 공기가 통과한다. 홈의 두께와 개수에 따라 공기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어 농산물을 신선하게 오래 저장할 수 있다.[➊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 ...
원전, 방사능, 에너지 총정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최신 책들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전을 둘러싼 논쟁과 대안을 두루 정리한 좋은 책이
여럿
나왔다. 그 가운데 국내 이공계 전문가가 쓴 믿을 만한 책을 모아 봤다. 김명자 전 환경부 장관(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초빙교수)이 쓴 ‘원자력 딜레마’는 후쿠시마 사고는 물론 우리나라의 원전 정책의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종이 위에 분리된 화합물들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을 이루는 구성성분인 아미노산이
여럿
발견됐기 때문이다. 즉 글리신,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같은 아미노산이 상당량 만들어졌다. 이 같은 생체분자가 이런 단순한 장치에서 만들어졌다는 건 믿을 수 없는 일이었다.무명 대학원생에서 하루아침에 ... ...
시조새는 공룡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새와 수각류 공룡들의 분류는 늘 혼란스러운 문제였다. ‘자리’가 바뀐 종들도 이미
여럿
있었다. 벨른호페리아는 시조새와 동일한 종일 가능성이 제기돼 왔다. 하지만 시조새보다 크기가 크고 골격이 작아서 다른 속으로 분류됐다. 안키오르니스는 처음 발견됐을 때 에이비알래로 분류됐다.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산란시키기 때문이다.[➊ 행성간 우주먼지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작은 씨앗(grain)이
여럿
뭉쳐 수 마이크로미터까지 자랐다.➋ 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말머리성운. 짙은 먼지가 성운 너머에서 지구로 향하는 빛을 막은 결과 검은 얼룩처럼 보이는데 우연히 해마의 머리가 연상되는 형상이 됐다.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성공하면서 (1984년) 특정 유전자가 없거나 돌연변이를 유전자를 지닌 질병 모델 생쥐를
여럿
만들었다. 에번스 교수는 이 업적으로 2007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 2007년 11월호 90쪽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참조)1998년 인간배아줄기세포 확립쥐에서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