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시아"(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모으거나 분산시켜 상을 맺게 하는 도구를 말해요. ‘렌즈(lens)’라는 이름은 중동과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자라는 렌틸콩이라는 작물에서 비롯되었어요. 17세기 사람들은 빛을 모을 용도로 만든 볼록한 유리의 모습과, 렌틸콩의 양쪽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모습이 닮았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이 ... ...
- [공생] 식충식물의 놀라운 변신! 화장실이야, 호텔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친구들의 사냥 실력 잘 봤니? 하지만 우리가 언제나 무시무시한 사냥꾼은 아니야! 동남아시아에 사는 벌레잡이통풀은 다른 동물들과 공생도 한다고! 내집처럼 편안한 화장실?!보르네오섬의 구눙물루 국립공원에는 네펜테스 로우이(N. lowii )라는 벌레잡이통풀이 살아요. 말레이시아 모나쉬대학교의 ... ...
- 우수영 서울시립대 입학처장 - “서류 비중 높여 면접 부담 줄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년을 맞았다. 서울시립대는 학교 규모는 크지 않지만, 올해 6월 영국 QS 세계대학평가에서 아시아 대학 중 95위, 국내 대학 중 20위를 기록하며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내실 있는 학교임을 증명했다. 또한 2010년부터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진행하는 학부교육선진화 선도대학(ACE) 사업에 ... ...
- 서보현 대구과학고 입학관리부장 - “우수하면 다음 단계 생략하고 우선 선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올해 ‘국제청소년물리토너먼트(IYPT)’ 금메달, ‘국제화학올림피아드(IChO)’ 금메달, ‘아시아-태평양 정보올림피아드’ 은상, ‘도시대항 국제 수학 토너먼트’ 금상, ‘전국과학전람회’ 물리·화학·지구과학 부문 특상, ‘캔위성 경연대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등 다양한 대회에서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2] 자원과 지속가능한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공업이 발달한 국가는 1인당 에너지 소비량이 많지만, 중남부 아프리카, 남부아시아, 동남아시아, 남미 등 개발도상국은 1인당 에너지 소비량이 적은 편이다. 오늘날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38%는 OECD 국가에 의해, 34%는 중국에 의해 사용된다. 에너지 소비의 불평등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는 상황이다 ... ...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바닥에는 온돌 시설이, 천장에는 히터 시설이 갖춰져 있어 내부는 후끈했다. 동남아시아가 원래 서식지인 원숭이들에게 적합한 온도와 습도 환경으로 맞춘 것이다. 기온이 16도 아래로 내려가면 원숭이들의 털이 빠지거나 건강상태가 나빠진다. 여름보다는 겨울을 잘 나는 것이 중요하다 ... ...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25억 년의 역사를 가진 오래된 암층으로 구성됐다. 한반도 형성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 동아시아의 지구조 역사를 이해하는 중요한 퍼즐인 이유다. 김 연구원은 “약 5000년 전 제주도와 울릉도, 백두산에 화산 폭발이 일어났던 기록이 있지만 그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며 “가넷과 페리도트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1] 세계 인구와 인구 문제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분포한다. 보통 기후가 온화하고 넓은 평야가 분포하는 지역에 인구가 밀집한다. 동남아시아에 인구가 밀집한 현상이 대표적인 예인데, 농업에 유리한 자연환경이기 때문이다. 요즘은 과학기술의 발달로 거주하기 불리한 곳에서도 사람이 살 수 있으며, 환경에 적응했던 과거와 달리 환경을 ... ...
- [과학뉴스] 보르네오섬에서 자폭 개미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연구진이 동남아시아 보르네오섬에서 자폭하여 적을 공격하는 신종 개미를 발견했어요. 적이 나타나면 이 개미는 배를 하늘로 들어 올려 방어 자세를 취해요. 그래도 적이 물러나지 않으면 개미는 상대방을 꽉 붙잡고 자신의 몸을 터뜨려요. 그러면 배에서 끈적이는 독이 나와 상대방의 몸에 묻지요. ... ...
- [과학뉴스] 네안데르탈인에게 물려받은 ‘바이러스 저항 유전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이번에 밝혀낸 유전자는 현대 유럽인에게만 존재한다. 네안데르탈인과 고대 아시아계 인류 사이에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유전자가 전달됐을 가능성이 높다. 에너드 교수는 “네안데르탈인과 현생 인류 간 이종교배는 선사시대 전반에 걸쳐 여러 지역에서 수 차례 일어났으며, 매번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