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줄
끄나풀
면사
무명실
리본
현
d라이브러리
"
실
"(으)로 총 948건 검색되었습니다.
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모인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바로 도전해 보자!참여 방법(다양한 활동을 할수록 홍보대사가 될 확률이 높아진다는 사
실
!)청소년 홍보대사의 주요 임무는 세계수학자대회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이다. 아래에 나온 다양한 방법으로 세계수학자대회를 홍보하고 이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것이 핵심!홍보 기간7월 16일부터 ... ...
PART3 - 한반도 재난 해결할 토종 군집로봇 9마리해파리퇴치 로봇내년 마산만 누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간섭이 많은 것도 야외 군집비행 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세계적으로도 아직은 드론의
실
외 군집비행 사례가 드물다. 하지만 드론 군집비행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추세다. 현재 국내 기술 수준은 미국이나 유럽에 많이 뒤쳐지지만, 공 박사는 직접 개발한 드론 수십 대가 우리 생활속에서 ...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실
을 통해 소리 파동을 상대방 쪽으로 전달하는 것과 비슷하다. 소리를 전달할 때
실
이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파도 역시 물이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해수욕장에서 튜브를 끼우고 바다에 떠 있으면 해변 쪽으로 밀려가지 않고 위 아래로 출렁거릴 뿐이다. 이제 파도를 ‘분류’해 보자. 파도의 ... ...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심장박동기 등장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단거리 전자기파가 사람의 세포를 통해 잘 전달되도록 구조를 설계한 뒤 충전이 되는지
실
험했다.그 결과, 새 심장박동기는 피부에 붙인 신용카드만한 전원공급장치만으로 잘 작동했다. 배터리를 뺀 심장박동기는 겨우 쌀알 크기로 줄어들었다. 연구팀의 존 호 연구원은 “심장이나 뇌처럼 민감한 ... ...
“우주선부터 인공장기까지 필요한 건 다 만듭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열어놓고 전기장을 걸면 DNA가 구멍 속으로 빨려 들어갑니다. 두께 1.5nm 정도인 DNA 가닥이
실
타래 풀리듯이 구멍을 지나가요. 구멍이 충분히 작으면 전기전도성의 차이를 측정해서 어떤 분자가 지나가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DNA 염기서열을 구할 수 있어요. 한 사람의 염기서열을 100만 ... ...
배낭여행 프로젝트 꽃보다 할배 in Spain 좌충우돌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고정된 선을 늘어뜨렸을 때 생기는 곡선으로, 현수교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모래주머니를
실
에 매달아 늘어뜨렸을 때도 현수선이 생기는데, 가우디는 그 곡선을 그대로 본떠서 성당을 설계했다. 현수선이 무게를 안정적으로 나누는 구조이기 때문이다.또한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의 마방진은 ... ...
토러스 매듭 만들기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역할을 하고 있다.먼저 수학에서의 매듭이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일반적으로 매듭은
실
이나 끈을 가지고 고리를 만들거나 꼬아 묶은 것을 말하지만, 수학에서는 끈의 양쪽 끝이 연결된 것을 일컫는다. 따라서 원도 매듭의 일종이다.매듭이론은 19세기 말 분자의 화학적 성질을 연구하기 위해 ... ...
수학 문제 증명했더니 그 크기가 무려 13GB?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제공했다고 생각합니다.그 증명의 결과로 13GB 분량의 파일이 생성되었다고 하는데, 사
실
인가요?13GB는 지금까지 나온 증명 중에서 가장 긴 증명입니다. 위키피디아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텍스트 분량이 10GB 정도이니까요. 아마 이 증명을 사람이 확인하는 데만도 수 년이 걸릴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 ...
침으로는 ‘슴부심’을 채울 수 없어요~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역시 입증되지 않은 얘깁니다.목숨이 경각에 달려서 지푸라기라도 붙잡는다면 모를까, 확
실
하지도 않는 시술에 기백만 원을 들인다는 건 너무 아깝지 않나요 ...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정소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이런 동물은 정소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쪽으로 진화한다.
실
제로 수컷끼리 ‘힘대결’을 펼쳐서 한 마리의 수컷이 여러 마리의 암컷을 독차지하는(1부다처) 고릴라나 오랑우탄은 정자 수 대결을 펼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환의 크기가 작다. 반면 난교를 하는 침팬지는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