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스&인터뷰] 밤새 별하늘을 달리는 축제 '메시에 마라톤'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목격하지 못하고 잠들다니 김태희 기자는 후회할 것이다. (김 기자: “제가 안 잤으면,
서울
로 무사히 돌아오지 못했을 것”) 새벽 3시 ⏐ 밤이 더욱 더 어두워지다. +8 hour 근처 가로등이 꺼지고 지나가는 차도 줄어들어 훨씬 어두워지며, 분위기는 더 뜨거워졌다. 이제야 천문 관측에 적당한 밝기가 ... ...
[기획] 아프면 어디로…? 소아과가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5호
어린이의 건강을 책임지는 소아청소년과가 사라진다는 뉴스가 연일 쏟아지고 있습니다. 소아청소년과가 앞으로 10년간 어둠의 터널을 걸을 것이란 무서운 예측도 보고됐지요. 이가 없으면 잇몸이라고, 소아청소년과가 없으면 내과나 다른 진료과에 가면 되지 않냐고요? 소아청소년과가 없으면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일정 관리도 스마트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5호
새 학기를 맞아 알찬 시간을 보내고 있니? 캘린더 앱을 사용하면 새로운 반 친구들과 숙제 정보와 약속을 공유하며 똑똑하게 일정 관리를 할 수 있어. 아직 캘린더 앱을 사용해보지 않았다고? 그렇다면 이번 화에서 스마트한 일정 관리법을 확인해 봐! 종이 대신 스마트 기기로 새 학기 준비! 긴 ... ...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간・담・췌’ 장기의 상호작용을 보다 '어셈블로이드'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인공 제작 및 합성을 연구하고 있다. jinwoo.seong@imba.oeaw.ac.at / sjw11071@gmail.com *염민규
서울
대 생명과학부에서 성체줄기세포와 대장암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고, 영국 케임브리지대 줄기세포연구소에서 유전학적 생쥐 모델과 수학적 모델링을 접목해 줄기세포 간의 경쟁 과정을 연구했다. 현재는 KAIST ... ...
[5년 후, 과학은] 인체의 면역을 이용해 암까지 치료하는 면역관문억제제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내 몸의 면역력으로 암을 치료한다는 개념의 시작은 1890년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미국 뉴욕의 외과의사 윌리엄 콜리는 육종이라는 암을 앓던 환자들 중 급성 세균감염을 겪은 이들의 암 덩어리가 서서히 줄어드는 현상을 관찰합니다. 이후 콜리는 세균 혼합물로 ‘콜리 톡신’을 만들어서 암환자 ... ...
사고력 쑥쑥! 수학놀이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5호
...
[피플] 2023 아벨상
수학동아
l
2023년 05호
수학상 하면 필즈상이 가장 먼저 떠오르실 텐데요. 수학자에게 어떤 상을 가장 받고 싶냐 물으면 열에 아홉은 수학계 노벨상 ‘아벨상’을 꼽습니다. 필즈상이 앞으로가 기대되는 만 40세 이하 젊은 수학자에게 주는 상이라면, 아벨상은 평생의 공로를 인정받은 수학자에게 주는 상이기 때문이지 ... ...
[피플] 카파렐리 교수의 업적 BEST 3
수학동아
l
2023년 05호
최소 비용으로 최대 이윤을 얻을 수 있는 길을 찾는 것입니다. 예컨대 강원도 채석장에서
서울
의 아파트 건설 현장으로 대리석을 옮겨야 한다고 가정해 보세요. 비용을 가장 적게 들이려면 최단 시간에 가장 짧은 경로로 가야 하는데요. 이를 알려주는 함수를 PDE로 찾는 거죠. 최적 운송 계획법을 ... ...
[Art Math] 수식과 그래프로 캔버스 채우는 화가 김현우
수학동아
l
2023년 05호
얻어맞은 듯했다. 아이가 끄적거린 것에 예술성의 실마리가 있다는 말이었다. 그길로
서울
특별시 북부병원에서 환자 초상화를 그려주는 로사이드의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김 작가는 한 달에 두 번 병원을 찾아 수십 명의 초상화를 그렸다. 초상화에 대한 환자들의 반응이 너무 폭발적이라 병원에서 ... ...
[뉴스&인터뷰] 여자끼리, 남자끼리 생명을 만들 수 있다면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사이에서 새끼를 태어나게 한 최초의 연구는2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정선 전
서울
대 의대 교수(현 마크로젠 회장)와 고노 도모히로 일본 도쿄농대 교수 등 한일 공동연구팀은 난자만으로 생쥐 새끼를 만들고 2004년 4월 22일자 네이처에 결과를 발표했다. doi: 10.1038/nature02402 당시 연구진은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