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비물
오물
대변
똥
쓰레기
분뇨
배출
d라이브러리
"
배설물
"(으)로 총 337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 달연구기지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태양빛을 보고 탄산가스를 마시고 산소를 배출해 달 기지에서 필요없는 인간의
배설물
과 탄산가스를 제거해 주는 대신 질 좋은 음식과 산소를 공급해주므로 달 기지에서 음식과 산소의 자급자족을 위해 없어서는 안될 식물로 현재 세계 각국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다. 물은 포물선 반사경을 ... ...
컴퓨터의사는 명의인가, 돌팔이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환자의 반응(증후라고 한다), 때로는 기계를 이용한 검사의 결과, 환자의 신체나
배설물
의 일부를 이용해 얻은 검사실 결과 등이 포함된다.의사는 이러한 자료들 중에서 가장 쉽게 얻을 수 있는 자료들을 모으고 여기서부터 추측이 가능한 몇가지 병을 생각한다. 이때 가능성이 있는 병들이 떠오르면 ... ...
몽골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겔내 난방은 매우 중요하다. 일부 지역에서는 나무를 연료로 사용하지만 대부분 동물의
배설물
을 난방용 연료로 쓴다. 8~9월 초원에 널려 있는 바짝 마른 말 소 양의 똥을 주워다 추운 겨울에 때는 것이다. 냄새가 나지 않고 화력도 좋아 쇠까지 녹일 정도라니 신기하기만 하다.몽골에선 손님은 풍요를 ... ...
2. 동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머물 수 있도록 식물생산장치를 마련, 식량을 공급한다는 계획도 포함돼 있다. 이밖에
배설물
을 처리해 재활용하는 기술의 개발도 이뤄지고 있다.미국 옛소련 유럽의 과학자들은 동물과 식물이 단기간의 우주여행을 감내할 수 있음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생물이 긴 우주여행이나 우주생활에 어느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인근 프린스턴(Princeton)대학의 아르바이트 대학생들을 동원, 안테나에 있는 비둘기
배설물
까지도 청소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러한 잡음들은 어느 한계까지만 줄일 수 있었을 뿐, 절대로 완전히 없앨 수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잡음의 원인은 우주 자체에서 오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들이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환경정화의 기본장치다. 생물은 환경정화라는 말이 필요하지 않다. 이는 한 생물의
배설물
이 다른 생물의 먹이가 되기 때문이다. 생물에 의한 오염물질의 정화과정은 생물의 환경적응과 성장의 한 과정인 것이다. 이러한 현상도 결국 생체 내에 오염물질을 필요한 영양분이나 에너지로 전환시켜 ... ...
(3)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공룡의 알 파편화석이 처음 공표된 이후 최근 골편화석과 발자국화석 이빨화석 발톱 및
배설물
인 분화석까지 발견돼 한반도에도 중생대 백악기에 공룡이 적지 않게 살았음을 의심할 수 없게 됐다. 그동안 국내에서 발견된 공룡화석은 어떠한 것들이며 또 현재까지 연구한 결과는 무엇인가.뼈 한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등에서 자란다. 북극에서 가장 싱싱한 보석지의는 밝은 등황색을 띠며 태양의
배설물
이라고 불린다. 이 지의류는 질소 성분을 좋아하여 새와 짐승에 의하여 비옥해진 곳에서만 번성한다.지의류는 또한 인간에게도 많은 이익을 가져다 준다.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시체를 미이라로 만드는 데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유지하는 영리함(?)을 보였다. 그러나 상륙작전 결과 노획품이 많았다. 우선 청둥오리의
배설물
을 접사촬영했으며, 고니가 제첩을 찾기 위해 파놓은 지름 1m 이상의 구덩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가장 큰 수확은 큰기러기 사체를 발견한 것. 병사한 것으로 추측되는 이 사체를 통해 즉석 현장 교육이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있는 사람은 현직 중고교 과학교사가 아닌가 생각됩니다.대마등에 상륙해서 청둥오리의
배설물
을 찍은 것은 저에게는 소중한 경험이었습니다. 내용물 분석도 곁들였으면 좋으리라 생각됩니다.최진복 제가 새에 대해 잘모르니까 탐사를 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앞으로는 철새면 철새, 곤충이면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