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AI 시대 주목받는 직업 8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인데요. 3차원 공간의 기본 단위는 부피와 픽셀의 합성어인 복셀(Voxel)이에요. 정육면체 모양의 복셀을 기본 단위로 사물, 동물, 캐릭터를 만들고, 자연스럽게 움직이게 하지요. 메타버스 시장이 점점 커지고 있는 만큼 가상공간 디자인을 필요로 하는 곳이 많아질 것이기에 이 직업의 전망은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돼야겠다고 결심한 계기는 어렸을 때 본 만화영화 ‘은하철도 999’입니다. 증기기관차 모양의 우주 열차가 안드로메다를 향해 우주를 누비는 이야기에 매료됐죠. 특히 저를 사로잡은 캐릭터는 그 열차의 차장님이었습니다. 그의 직장은 우주입니다. 평생 우주에서 살며 승객들에게 우주를 안내하죠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현승균 인하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일본 오사카대 연구팀과 함께 연근 뿌리 모양의 초경량 금속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구리에 조금 특별한 구멍을 만들었다. 연구팀의 초경량 금속에는 외부와 연결된 구멍이 한 뱡향으로 나열돼있다. 그 덕에 구리 원자들이 한 방향으로 연결돼 열 전달이 ... ...
- [꿀꺽! 수학 한 입] 경기장을 위에서 내려다볼까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위에서 내려다볼까요? 이 경기장의 모양은 ‘직사각형’이에요. 네 각이 모두 직각★인 사각형이지요. 경기는 가장 큰 직사각형(❶) 안에서 이뤄져요. 국제경기를 기준으로 이 직사각형의 가로는 100~110m, 세로는 64~75m예요. 커다란 직사각형의 안에는 그보다 작은 중간 크기의 직사각형(❷)이 양쪽에 ... ...
- [똥손 수학 체험실] 내가 만드는 마이보 퍼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홈을 파서 조각끼리 끼울 수 있도록 한 모양이지만, 스테인드글라스처럼 다각형 모양으로 만드는 방법도 있답니다. 이때 주의할 점이 있어요. 다각형의 변은 반드시 직선이어야 하고, 중간에 끊어지면 안 돼요. 곡선이 있거나 중간에 끊어진 변이 있다면 다각형이라고 할 수 없답니다. 곡선으로만 ... ...
- [출동, 슈퍼 M] 색종이로 만드는 세상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색종이가 정사각형인 이유를 알았나요?색종이를 활용해 다양한 모양을 직접 만들어 보세요. 미션 1. 어떤 도형인지 맞혀봐! 그림을 따라 색종이를 접어 보고, 어떤 도형 ... 절반 접은 다음, 다음과 같이 그림을 그려 선을 따라 잘라 보세요. 색종이를 펼쳤을 때 어떤 모양이 완성됐나요 ...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5화. 버섯의 씨앗은 주름에서 난다? 주름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갖고 있지요. 이들은 각각 자신만의 개성 있는 턱받이를 갖고 있는데요. 큰갓버섯은 반지 모양의 턱받이를 갖고 있으며 끈적버섯속의 버섯들은 거미줄 같은 턱받이를 갖고 있지요. 끈적버섯속의 학명은 ‘Cortinarius’예요. 거미줄을 뜻하는 영단어인 ‘Cortina’에서 유래했지요. 지금까지 야생에서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포자, 지하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끼 같은 일부 식물도 포자를 퍼뜨려 생식합니다. 포자는 한 개 이상의 세포가 뭉친 모양으로, 우리가 자주 보는 과일 씨앗에 비하면 크기가 매우 작고 가벼워요. 그래서 포자는 주로 바람에 날려 멀리 퍼집니다. 실내의 공기 중에도 눈에 잘 보이지 않는 포자가 떠다니고 있지요. 사람을 포함한 ... ...
-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존재하는 기하학도 있어요. 이를 ‘쌍곡기하학’이라고 하는데요. 말 안장 혹은 감자칩 모양의 공간을 떠올리면 됩니다. 이 공간 위에서 삼각형을 그리면, 이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보다 작지요. 초중고생 때는 유클리드 기하학을 기본에 둔 기하학을 배우기 때문에 유클리드 기하학의 원리가 ...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마리너 1호에는 ‘코어 루프 메모리’가 탑재돼 있었다. 코어 루프 메모리는 도넛 모양 코어에 구리 선을 통과시키거나 통과시키지 않는 ‘바느질’로 0과 1의 신호를 입력해야 했다. 바느질에 능숙한 미국 여성 노동자들이 한 땀 한 땀 구리선을 꿰어 만들었기에 ‘리틀 올드 레이디(Little Old Lady)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