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킨토시
mac
소아복
맥킨토시
진맥
검맥
맥락
d라이브러리
"
맥
"(으)로 총 424건 검색되었습니다.
3. 짝짓기 선택 암컷의 특권이라는데…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주목받게 된 것은 남성중심의 편견을 버린 후부터다. 70년대 중반 서구의 여성운동과
맥
을 같이하면서 발전한 암컷행동연구는 사회적 편견이 어떻게 과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준다 ... ...
3. 미리 본 차세대 운영체계 '윈도스 95'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있다. 윈도스 95는 넥스트스텝과 같은 안정적이고 멋진 아이콘을 제공하고 있으며
맥
의 시스템처럼 복잡한 마우스 조작없이 간단하게 파일의 이름을 바꾸거나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윈도스 95는 IBM이 열심히 만든 운영체계인 OS/2와도 많이 닮아 있다.물론 저작권 분쟁에 걸릴 정도로 ... ...
2. "이동통신 시장 잡아라" 불꽃다툼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그러나 세계 최대의 갑부인 게이츠와 마침 AT&T에
맥
코사를 매각, 수십억 달러를 손에 쥔
맥
코가 이를 추진하자 사람들은 '농담'이 아님을 알았다.'텔레데식'이라 이름 붙여진 이 프로젝트는 음성전화보다 무선을 이용한 데이터 영상 소리 등 멀티미디어 정보교환에 주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 ...
1. 13살 컴퓨터 입문-30대 미국 제일 재벌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생각지도 못할 계획을 발표해 또다시 세계를 놀라게 했다. 미국 최대의 이동전화사인
맥
코사와 함께 오는 2001년까지 90억 달러를 투입해 8백40개의 통신위성을 발사하겠다는 것이다(위성 통신 특집 참조).사람들은 모토로라사가 계획한 이리듐 프로젝트보다 세 배 큰 규모를 지닌 이 엄청난 계획에 ... ...
초신성 1987A 둘러싼 3개 고리 생성 논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그 결과 1999년에는 그것이 기존의 고리와 충돌해 아름다운 불꽃을 만들 것으로 예상된다.
맥
크레이와 린이 지적한 바와 같이, 그 불꽃의 지속시간으로부터 고리가 껍질의 일부인지, 아니면 오래 지속된 원반의 안쪽 끝부분인지 확실해질 가능성이 많다. 더욱이 안쪽 고리가 충돌하면 바깥쪽 고리에 ... ...
쥐라기 익룡, 박쥐와 조류 어느쪽에 가까운가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네이처' 최근호에 실린 쥐라기 익룡의 날개 모양에 대한 새로운 주장이 학계의 논쟁을 낳고 있다. 새 주장은 익룡의 양 발목이 박쥐의 막과도 같은 육질의 막으로 연결돼 있었다고 본다.이미 멸종해버린 날아다니는 파충류의 날개구조에 대한 의견차이가 고생물 학자 사이에서 격렬한 논쟁을 불 ... ...
[2] 미지의 생체 네트워크-질병치료에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이다. 혈관계 말단의 모세혈관처럼 미세한 통로는 손
맥
(孫脈) 이라고 부른다.주요한 경
맥
은 12개가 있는데 경혈(침자리)이 분포하고 있다. 경혈은 기가 집중되어 있는 곳. 기의 흐름이 막히면 상태가 나빠지므로 경혈에 침을 놓아 기가 원활히 흐르도록 하는 것이 치료법의 기본이다.서양의학의 ... ...
1 한번쓴 자원, 원상회복 안된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점에서 엔트로피 이론은 현재 유럽 등지에서 일어나고 있는 생태주의 운동과도
맥
을 같이 하는 듯하다.'녹색운동'으로 대표되는 유럽의 생태주의 운동은 기존의 환경보호운동과는 세계관에서 큰 차이가 난다. 환경보호운동이 인류가 더 쾌적하고 편리하게 살아가는 데 목표를 둔다면, 생태주의는 ... ...
놀라운 식물의 방어전략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이런 생각은 더욱 확실해진다. 길가에 서 있는 플라타너스를 무심히 쳐다보면 겨우 입
맥
만 남은 채 벌레에게 무참하게 먹힌 경우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이처럼 자연이라는 링에서는 초식동물이나 곤충과 식물과의 게임은 너무나 일방적이다. 식물은 도망가지도 못하고, 팔을 끼지도 못하며, ... ...
PART.1 두눈 시각차 이용, 환상의 3차원 영상 만든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그동안 좀 더 현실감있는 입체이미지에 접근하고자 수많은 입체경이 발명돼 왔으며 그
맥
(脈)은 오늘날 가상현실시스템을 통해 이어지고 있다.입체화 발견에 대한 연구는 1백50년 전 휘트스톤이란 인물이 프리즘과 거울을 사용한 것에서 부터 출발한다. 최초의 입체경을 발명해 명성을 얻은 바 있는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