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선
끈
열
line
로프
금
d라이브러리
"
라인
"(으)로 총 794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펙! 차곡차곡 쌓아보자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자신의 특기를 발휘하는 학생들이 종종 나타난다. 이들이 올림피아드에 참가해 온·오프
라인
교육을 받으면서 두각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 시기는 입상을 목적으로 종목을 변경하는 학생들도 많다. 하지만 입상보다는 자신의 진로를 고려해야 한다. 진로와 관련 없는 수상 실적은 입시에서 평가되지 ... ...
당구치는 법만 알면 빈집도 턴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맞춘 열쇠다. 자물쇠마다 수십 가지의 쉬어
라인
을 갖고 있으니 그 중 공통적으로 가진
라인
하나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실제 호텔에서는 층별 마스터 열쇠를 비롯해 호텔 전체를 열 수 있는 마스터 열쇠를 가지고 있다.살짝만 바꿔도 훨씬 안전하다그렇다면 자물쇠를 좀 더 안전하게 만들 수는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점수와 지원대학 커트
라인
목록에서 포스텍이 없어지는 데 대한 걱정이다. 수능점수 커트
라인
으로 상위권 대학을 구분짓는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서 나올 법한 우려였다.그러나 포스텍의 판단은 결과적으로 옳았다. 세계 최고수준의 연구중심대학으로 지향점을 실현시켜 줄 주인공들이 바로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3호
변화가 나타났다. 딱딱한 음식을 위한 큰 이빨과 턱이 사라진 것이다. 몸매도 S
라인
이 됐다. 소화가 쉬워지면서 허리 쪽에 있던 소화기관이 작아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오늘날 사람의 소화기관은 영장류 평균의 60% 크기다.인류 최초의 요리사는 호모에렉투스? “그동안 호모에렉투스가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큰 공원에 세워진 분수에서 찾아볼 수도 있다. 이 원리는 다음과 같다. 분수의 급수
라인
에 연결된 노즐을 통해 물이 뿜어지는데, 노즐의 지름에 따라 압력이 조절되고 노즐과 지면의 각도로 분수의 높이가 결정된다. 이것이 조화를 이루면 물줄기들은 아름다운 포물선을 그리며 사람들에게 시원함과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이용할 것인지 등 연구의 가이드
라인
을 정확히 정해야 한다. 이번 학회에서 이 가이드
라인
이 통과됐다. 사업의 의장도 백 교수가 맡았다. 그리고 사업의 로고를 만들고 총괄본부를 백 교수가 있는 ‘연세 프로테옴 연구원’에 두기로 결정했다. 이번에 전체운영 틀을 확실히 잡았기 때문에 내년 9월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않는 완벽한 화장법이었던 셈이다. 이집트 중기 왕조의 네페르티티 여왕은 청색 아이
라인
에 빨간색 매니큐어와 페디큐어까지 칠하고 있는 것이 분묘 발굴 결과 확인됐다.곰과 호랑이에게 쑥과 마늘을 준 이유는?“겨울에 얼굴이 거칠고 터지는 데 달걀 세 개를 술에 담가 김새지 않도록 두껍게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가능성은 아직 아무도 모른다. 김기정 빔
라인
부연구원은 “완성된 뒤 실제로 빔
라인
에서 연구를 하다 보면 지금은 상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연구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경험이 축적되면 새로운 응용 연구 분야가 개척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가속기 자체의 운영과 최적화에 대한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1이산화탄소는 내가 맡는다지구온난화의 주범인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고민하던 황당맨은 새로운 이산화탄소 흡수제가 개발됐 ... 현장이 제각기 다르고 실외 작업장은 날씨에 따라서도 달라 표준을 정할 수는 없지만 가이드
라인
은 제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제 7회 세계과학기자 총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말했다.이제는 열린 공간에서 누구나 과학기자로서 기사를 생산할 수 있다. 오프
라인
매체보다 인터넷에 작성한 글이 더욱 큰 영향력을 지니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누구나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은 반대로 더욱 차별화된 컨텐츠를 요구한다.재미와 스토리 담아라달라진 과학 저널리즘에서는 어떤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