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치
허비
지출
감손
줄어듦
d라이브러리
"
낭비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밀레니엄 버그 ABC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모른다. 그러기에 컴퓨터를 전혀 모르는 컴맹에게는 밀레니엄 때문에 엄청난 국세를
낭비
하고 있다는 것이 납득되지 않을 수 있다. 밀레니엄 버그가 무엇인지 차근차근 살펴보자.밀레니엄 버그는 천년을 뜻하는 ‘밀레니엄’(millennium)과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오류를 의미하는 ‘버그’(bug)의 ... ...
책상 - 보면 볼수록 새로운 과학백화점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빛이 방출된다. 하지만 전기에너지의 95%가 열로, 나머지가 빛으로 바뀌므로 에너지
낭비
가 큰 것이 단점이다. 이때 방출되는 빛은 장파장(빨간 색의 빛)쪽의 빛이 많이 나온다. 이는 소비전력이 적은 전구를 켰을 때 붉게 보이는 것으로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반면 형광등이 빛을 내는 원리는 높은 ... ...
④ 각광받는 미래에너지 수소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저장탱크의 제작도 어렵거니와 수소를 액화시키는 것이나 저장 도중의 손실 등 에너지의
낭비
가 많은 것이 문제이다. 금속수소화물을 이용하는 것은 수소저장합금이 무거운 금속이므로 이를 이용한 수소저장탱크가 너무 무거워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만일 현재의 연료통 정도되는 40L짜리 연료통을 ... ...
내인생의 3분의1 잠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3분의 1을 차지하는 잠. 그냥
낭비
하는 시간이라 생각한다면 큰 오해다. 잠자는 시간은 깨어나서 활동하는 시간만큼 우리의 몸과 마음에 중요한 의미로 다가온다. 때때로 잠자리가 불편하면 생명에 위협을 받기도 한다. 잠의 정체는 무엇일까. 동물의 겨울잠에서 우주인들의 기묘한 수면법에 ... ...
초전도 현상과 BCS이론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전류를 2배로 하면, 발생하는 열은 4배가 된다. 이 때문에 열로 소비되는 만큼 전력이
낭비
되고 이 열을 식히기 위한 냉각시설에도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 그러나 초전도체는 저항이 0이므로 열을 내지 않는다. 지름 4cm인 코일에서 15테슬라(Tesla, 자기력의 단위. 1테슬라=지구자기장의 1만배)의 ... ...
밀레니엄버그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발달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래서 개발자들은 연도를 두자리로 표기해 메모리의
낭비
를 줄였다. 밀레니엄 버그라는 시한폭탄을 만들어놓은 것이다.2000년이 되면 은행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예를 들어 1999년 12월에 예금을 해서 2000년 1월 찾는다고 하자. 그러면 컴퓨터는 거의 1백년 동안 예금을 ... ...
3. 한국형 첨단밸리 휴먼 인프라를 구축하라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이런 토양이 없는 우리나라에 미국식 실리콘밸리를 만들겠다는 발상은 자칫 자원의
낭비
를 초래할 뿐 아니라 벤처기업 발전에도 오히려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사실 우리가 추진하고 있는 첨단단지 조성계획은 70년대 이루어진 일본식 개발 모델과 매우 유사한 면을 가지고 있다. 이의 핵심 ... ...
외계생명체가 전하는 희망의 메시지- 콘택트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의견을 대변하고 있다. 그녀는 이 넓은 우주 공간에 생명이 우리뿐이라면 ‘공간
낭비
’라고 역설한다. 생명은 어디에서든 환경만 만족되면, 탄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그러나 파머는 증명할 순 없지만 존재하는 것이 있다고 믿는 종교철학자다. 예를 들면 사랑이 그렇다. 사랑은 존재하지만 심장 ... ...
12월은 컴퓨터 구입 최적기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구입하는 편이 현명하다. 한 달에 1-2장 인쇄하면서 프린터를 굳이 고집하는 것은
낭비
다.PC는 가전제품데스크톱 PC는 컴퓨터업계의 수많은 변화를 집약한 제품이다.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는 신기술 덕택에 제조업체들은 가격을 크게 올리지 않고도 컴퓨터의 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됐다 ... ...
세계의 경차-작다고 깔보지 마라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바로 경차에 주는 세금혜택이다. 대개 쓸데없이(?) 큰 차를 선호해서 생기는 국가적
낭비
를 막고 국민들이 모두 자동차를 소유할 수 있도록 한 배려에서다.한때 자동차는 신분의 상징이어서 거주성과 차체 크기가 강조됐다. 하지만 이젠 자동차가 생활 필수품이 되면서 크기보다는 스타일이나 패션,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