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꼭"(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수티콘] 지름, 반지름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마세요! 원이라면 꼭 가지고 있어야 할 요소는 모두 가지고 있으니까요. 어수동 : 꼭 가지고 있어야 할 요소가 뭐죠? 원은 이렇게 수많은 점으로 이뤄져 있는데, 모든 점으로부터 항상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을 ‘원의 중심’이라고 해요. 왼쪽 그림처럼 원의 중심을 지나고 원 위의 두 점을 이은 ... ...
- [특집] 꿀벌을 지켜 줘, 농도 괴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먹고 자라는 어린 꿀벌이 제대로 클 수 없어요. 꽃가루 속 단백질은 꿀벌의 성장에 꼭 필요한 영양소이지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꿀벌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거예요. 용어설명 수분★ 식물의 수술 꽃가루를 암술에 묻혀 씨앗을 만들고 열매를 맺게 돕는 거예요. 황사★ 중국 사막 지대의 ... ...
- 독자 투표로 정한 첫 표지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피로감이 있는 듯합니다. 다양한 주제를 돌아가면서 다뤄 적절한 밸런스를 유지하는 게 꼭 필요하다는 점을 이번 조사를 통해 알게 됐습니다. 개발자나 코딩 주제는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지만 우리 독자들이 과학동아에서 보고 싶은 주제는 아니었나 봅니다. 그보다는 물리학 등 정통 ... ...
- [파고캐고 지질학자]강 따라 흐른 용암의 흔적을 찾아라! 한탄강 세계지질공원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구라이골 등 다양한 지형들이 있으니, 지질학을 좋아하는 어린이라면 가족과 함께 꼭 한 번 둘러보시길 바랍니다. 필자소개 우경식(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지질학 교수)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6년부터 강원대학교 지질학과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국제동굴연맹 회장, IUCN 세계자연유산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아뇨, 그래도 이과가 무한동력은 못 만듭니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수 있었죠. doi: 10.1038/s41586-020-2801-z 그러니 저항이 없는 전선을 상용화하는 데 성공하면 꼭 기자에게 제일 먼저 알려주세요. 주식이라도 미리 사둬야 하니까요. 2런 이런 무한동력이라니, 흥.미.롭.군.요 무한동력을 바라보는 과학자의 자세영구기관을 향한 관심은 고대 그리스부터 이어왔습니다. ... ...
- [출동! 슈퍼M] “자전거 바퀴가 작으면 속도가 느린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두발자전거를 탈 때 가장 중요한 건 바로 안전! 자전거를 안전하게 탈 수 있도록 나에게 꼭 맞는 자전거 고르는 방법을 슈퍼M이 알려줄게요. 내 몸에 맞는 자전거 크기를 선택할 때 중요한 기준은 ‘키’와 ‘인심(inseam)’이에요. 인심은 두 다리 사이의 가랑이에서부터 땅바닥까지의 길이를 뜻해요. ... ...
- [가상 인터뷰] 성게에 숨겨진 수학 무늬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가시가 뒤덮고 있어 밤송이를 꼭 닮은 성게 속엔 동그란 뼈가 숨겨져 있어요. 최근 성게의 뼈에서 수학적 형태를 발견했다고 하는데. 어떤 무늬인지 알아볼까요? Q.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만나서 반가워요! 저는 피부에 가시가 있는 극피동물인 성게예요. 포식자의 공격을 받거나 환경이 갑자기 ... ...
- 바다 거북의 날갯짓이 이어지도록 "또시 옵서양”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조 주임이 혼자 매부리바다거북이 들어있는 고무통을 바라보고 있었다. 제주도 또시 꼭 옵서양 방류 당일인 25일 오후 2시. 중문색달해수욕장 날씨는 맑았다. 바다거북이 여섯 마리나 고무통에 들어있는 흔치 않은 광경에 인파가 모여들었다. 잠시 뒤, 바다거북이 모래사장 위에 발을 내디뎠다. ... ...
- [특집] 더 큰 열매를 위한 씨앗! 과감한 투자, 가을이형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생일, 명절 등 특별한 날에 받는 용돈을 넣어요. 부모님께 받는 용돈도 학용품처럼 꼭 필요한 물건을 사는 돈을 제외하고는 투자해요. 제가 받는 용돈의 80% 정도는 주식에 투자한다고 볼 수 있지요. 채민 학생의 투자 비법을 알려주세요. 제 비법은 스스로 전문가가 되는 거예요. 경제뉴스를 ... ...
- 세계적인 수학자! 김민형 교수와 수다 떨자! 동대문 수학 클럽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답했어요. 정치, 과학 등 여러 분야에서는 수학을 이용해 정량적으로 이해하는 과정이 꼭 필요해요. 선거에서 누가 당선될지 예측하고, 실험 결과를 분석할 때 모두 수학이 쓰이거든요. 김 교수님은 “수학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면 ‘필요 없는 불안’이 사라진다”고 덧붙였어요. “인류가 현재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