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접
접근
접촉
가까움
이웃
근교
근처
d라이브러리
"
근접
"(으)로 총 526건 검색되었습니다.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공중형 풍선도 있다. 이런 공중형 풍선탐사선은 궤도선보다 수백배나 표면에 가까이
근접
해 비행할 수 있고 이동 차량에 비해 수천배나 먼 거리를 탐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기존의 헬륨가스가 들어가는 가스형 풍선은 수명이 겨우 며칠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1백일 이상 1년 정도의 ... ...
눈과 손으로 함께 '보는' 책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태양과 달을 멀리서 찍은 투명비닐 사진을 넘겨보면 그 아래 페이지에 가까이서 찍은
근접
사진이 나온다. 이번에는 천문대 사진을 넘겨보자. 그러면 그 아래에 우주 망원경의 자세한 구조가 펼쳐진다.수많은 동식물의 보고인 열대 우림의 겉과 속은 또 어떨까. ‘열대 우림’에서 나무와 연못이 ... ...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소행성 베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말 밤하늘을 빛냈던 토성이 다시 빛을 내기 시작했다. 작년 말에는 토성과 목성이 나란히
근접
해 멋진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올해는 목성이 동쪽으로 멀리 달아나 토성과는 좀 많이 떨어져 있다. 하지만 토성의 위치는 작년과 비슷하다. 즉 올해도 여전히 황소자리에서 보인다.12월 3일 태양-지구-토성 ... ...
약물 안전하게 수송하는 분자 곶감타래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예일 뿐이다”라고 김교수는 말한다.또한 김 교수는“초분자화학 연구는 노벨상에 가장
근접
해 있는 경쟁력 있는 분야 중 하나다. 하지만 노벨상은 그렇게 쉽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라며“초분자화학 같은 학제간 학문의 경우에는 기초가 되는 기본지식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그가 꼽는 ... ...
방랑자 혜성의 진면목 최초 포착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방향이 바뀌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딥스페이스가 긴 여정 끝에 보렐리에 가장
근접
한 때는 9월 22일 22시 30분(세계표준시)이었다. 탐사선은 혜성에 2천2백km까지 접근했다. 이때 얻을 수 있었던 영상은 혜성핵에 대한 것으로 지금까지 얻었던 영상 중 최고로 평가받았다. 이전인 1986년에도 핼리혜성에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원자와 탐침의 원자 사이의 힘을 이용한다면? STM과 마찬가지로 탐침을 물체의 표면에
근접
시키면 이들 간의 거리에 따라 끌어당기거나 밀치는 힘이 작용한다. 탐침을 캔틸레버라고 불리는 다이빙보드처럼 잘 휘는 물체에 붙이면 탐침의 원자와 시료의 원자 사이에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캔틸레버가 ... ...
가을밤에 만나는 밤하늘의 기준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흐름을 조금이라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저물어가는 붉은 행성 지난 6월 중순 지구에
근접
했던 화성이 점차 멀어지고 있다. 현재 초저녁 남서쪽 하늘에서 빛나고 있는 화성은 무더웠던 지난 여름, 그 특유의 붉은 빛으로 시선을 끌었다. 많은 사람들은 남쪽하늘 은하수 한가운데에서 붉은 별 ... ...
화성탐사 나서는 집채만한 축구공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있다. 특별히 관심있는 지역에 도착하면 일부 가스를 빼내 정지할 수 있고, 일단 원하는
근접
관측을 끝내면 다시 가스를 주입해 이동할 수 있다. 실제 NASA 과학자들은 미국 모하비사막에서 크기 1.5m짜리 공을 모델로 실험했다. 실험 결과 어깨높이의 이 장치는 모래언덕 4백여m를 터지지 않고 쏜살같이 ... ...
1. 1백만달러 현상금 걸린 유체방정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할까? 아니다. 비록 오차가 있다 하더라도, 우리가 원하는 오차 범위 내에서 보다
근접
한 값을 구해내면 되는 것이다. 이는 자동차에 비행기나 우주선 엔진을 쓸 필요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비록 오차가 있더라도, 자동차가 달릴 수 있는 범위면 되는 것이다. 이런 계산을 위해서, 적절한 방법을 ... ...
현생 포유류의 새로운 원시조상 발굴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원시포유류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 사이언스지는 이 화석보다 현생 포유류에 좀더
근접
한 특징을 가진 동시대의 머리뼈 화석이 발굴됐다고 보도했다.약 1억9천5백만년 전의 이 머리뼈 화석은 길이 13mm, 무게 2g으로 모양은 현대 뒤쥐의 머리뼈와 비슷했다. 미국 피츠버그의 카네기 자연사박물관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