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같은시간"(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튀르키예의 지진으로 우리나라 지하수도 출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튀르키예의 지진이 7400km 떨어진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우리나라 지하수의 높낮이에 변화를 일으켰다고 하는데…! 지하수 수위는 어떻게 변했고, 어떤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을까요? 지하수 수위가 변하면 무슨 일이? 튀르키예 지진의 진동이 지구 한 바퀴 둘레의 5분의 1 정도 되는 거리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즐겁고 슬기로운 숏폼 사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숏폼이 뜬다?! 틱톡 챌린지나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 같은 짧은 영상을 본 적 있나요? ‘숏폼’은 짧다라는 뜻의 ‘숏(Short)’과 형식을 뜻하는 ‘폼(Form)’의 합성어로 몇 초부터 최대 10분 이내의 짧은 길이의 영상을 뜻합니다. 2022년 7월 데이터 분석 플랫폼 데이터에이아이에 따르면, ... ...
- AI 시대 주목받는 직업 8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생성형 AI로 원하는 웹 페이지를 만들고, 웹툰을 그리고 영상까지 제작하는 시대가 머지않았습니다. 수많은 직업을 AI가 대체할 거라고 추측하는 가운데, 어떤 직업이 계속해서 유망할까요? 2023년 5월 발간한 세계 경제 포럼의 연구 보고서 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1월 발간한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핍은 화성에 한 평 남짓한 땅을 가지고 있었다.핍의 아버지는 태양계에서 가장 높은 산이라는 화성의 올림푸스 산 정상에 올랐다. 아버지가 살 수 있는 땅은 정상에서 열 걸음 정도 떨어진, 한 사람이 간신히 누울 만한 곳이 전부였다. 그게 어디랴. 이 우주에는 자기 땅을 가지지 못한 사람이 대다 ... ...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다가올 미래, 바이오컴퓨터는 어떤 형태일까. 그것을 만들려면 무엇을 해결해야 하며, 결국 구현해 낸다면 어떤 문제를 풀 수 있을까? 뇌 오가노이드 연구를 지속해 온 선웅 고려대 의대 교수가 궁금증 가득한 바이오컴퓨터의 미래를 생물학자의 시선으로 톺아봤다. 뇌 오가노이드를 크게 만드는 ... ...
- [논문탐독] 미래 우주로 향하는 로켓 추진체, Alice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공급원을 다양하게 구축하는 것은 오늘날 전 세계인의 숙제입니다. 석유나 천연가스에 비해 탄소 배출이 적은 태양광, 풍력, 원자력 등 여러 에너지가 주목받고 있죠. 금속 연소는 그보다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이점이 매우 많습니다. 단위 부피 ... ...
- 챗GPT 과연 수학자를 위협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누가 나 대신 수학 문제를 풀어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이 있나요? 챗GPT의 등장으로 이 생각이 실현될지도 모릅니다. 수학자도 챗GPT에게 자리를 위협받을 수 있다는데요.가 진위를 파악하기 위해 나섰습니다. 이에 대해 수학자의 생각은 어떤지 듣고, 수학자와 함께 챗GPT로 수학 문 ... ...
- Habitat ‘화성 1년 살이’를 계획 중이라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대강의 상황은 이러하다. 나는 화성에서 오도 가도 못하는 신세가 되었다. 헤르메스나 지구와 교신할 방법도 없다. 모두들 내가 죽은 줄 알고 있다. 내가 있는 이 거주용 막사는 31일간의 탐사 활동을 위해 설계된 것이다. 산소 발생기가 고장 나면 질식사할 것이다. 물 환원기가 고장 나면 갈증으로 ... ...
- [이그노벨상] 세상에서 가장 오래 진행 중인 실험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 편집자 주 이그노벨상. 괴짜들의 노벨상이라 불리며 “다시 할 수도 없고 다시 해서도 안되는 업적”에 수여되는 상으로 불립니다. 매년 듣기만 해도 웃음이 터져 나오는 연구 약 10개에 수여되고 있죠. 하지만 웃음 너머로 과학의 본성에 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하는 연구들을 조명하는 상 ... ...
- [특집] 튀르키예의 지진, 피해가 컸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2월 6일 튀르키예 가지안테프에서 규모 7.8의 지진이 일어난 뒤 약 9시간 만에 북쪽으로 약 80km 떨어진 카라만마라슈에서 규모 7.5의 지진이 다시 발생했습니다. 이렇게 큰 규모의 지진이 두 번이나 연속으로 일어난 원인은 무엇일까요? 판의 이동으로 땅이 찢어지다 “두 판 사이의 힘이 쌓였다가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