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분
정서
마음
느낌
생각
분위기
정감
d라이브러리
"
감정
"(으)로 총 1,32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5대 핵심역량 키우기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상대방에 대한 공감 능력도 기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
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며 존중하는 의사소통 역량을 키울 수 있습니다. 또 상대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향유할 수 있는 심미적 감성 역량, ... ...
Part 3. 직접 들어본 요즘 사춘기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대한 고민도 생겼어요. 모두가 ‘중2병’을 겪던 지난해에 가장 심각했어요. 다들
감정
적으로 변해서 별거 아닌 일에도 싸움이 터졌죠. 중학생이 연애를 한다고 해서 뉴스에 나오는 것처럼 모두가 성관계를 경험하지는 않아요. 소수의 문화일 뿐, 대부분은 손 정도 잡는 건전한 연애를 해요. 오히려 ... ...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하기도 한다. 경 교수는 “부모와 아이 모두 호르몬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시기에 해당돼
감정
적으로 민감해지고 이로 인한 갈등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부모가 사춘기 자녀의 행동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처럼 아이들도 부모의 행동이 불만일 수 있다. 사춘기에 자아가 확립되면서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경찰청 과학수사기법계장은 “실제 수사 현장에서는 지문이 복잡하게 겹쳐 있어
감정
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며 “일차적으로 겹치지 않은 지문부터 찾고, 못 찾을 경우에만 겹친 지문의 감식을 의뢰하는 데 신원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 경우 지문으로는 더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매력은 적절한 ‘밀당’이다. 가령 황순원의 소설 ‘소나기’는 소년과 소녀의 풋풋한
감정
이 시작되고 끝난 개울가를 얘기하며 독자를 문학의 세계로 끌어당긴다. 그 뒤 이런 물이 우주 역사에서 어떻게 탄생했는지 설명하면서 한순간에 소설의 감동을 밀어내고 과학의 세계로 들어간다. 현진건의 ... ...
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활성화 정도가 줄어 우울해하는 증상이 나타났다. 전대상피질은 집중력을 높이고 내면의
감정
을 조절하는 부위다. 이런 경향은 초기 사춘기(12~13세)보다 후기 사춘기(15~16세)에 두드러졌다. 카시오포 교수는 “성인의 경우 특정 행동에 대한 금전적인 보상을 받을 경우 전대상피질이 활성화되는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감정
적인 경험도 필요하다. 사춘기 청소년은 문제를
감정
적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좋은
감정
경험은 건강한 뇌 발달에 도움을 준다.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친구와 가족에게 사랑을 느끼는 것은 사춘기 뇌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필수 항목이다 ... ...
[과학뉴스] 한국 찾은 AI 로봇 소피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1월 한국을 방문했어요. 핸슨 로보틱스가 개발한 소피아는 한 컨퍼런스에 참여해 다양한
감정
을 표현하는 것은 물론 농담도 할 만큼 자연스러웠지요. 하지만 사전에 준비된 내용으로 대화를 나눠 아쉬움을 남겼답니다. 소피아는 “인간과 상호작용하며 돕는 것이 꿈”이라고 말했답니다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마음은 정말 가슴에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분석하기 시작하면서 비로소 ‘신경학’이라는 학문이 등장했지요. 이후 서서히 뇌가
감정
을 느끼고 생각하는 기관이란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가설3 마음은 송과선에서 몸과 만난다?! 17세기 프랑스 철학자 데카르트는 마음이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정해진 위치에 머무르지 않는다고 주장했어요. ... ...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외모와 움직임이 비슷해지면 다시 호감도는 상승한다. 이 그룹장은 “사람은 대화할 때
감정
에 따라 얼굴에 미묘한 변화가 나타나는데, 로봇은 그렇지 않아 불쾌한 골짜기가 생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에버와 소피아, 에리카도 현재 불쾌한 골짜기 어딘가에 있다. 에리카의 경우 외모만 놓고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