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학
문예
자료집
문필
작품
학예
기록
d라이브러리
"
문헌
"(으)로 총 355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서관전산망 구축된다
과학동아
l
199009
전국의 도서관을 하나로 묶는 도서관정보전산망(KOLIS NET) 이 구축된다.문교부는 91년부터 94년까지 1백19개 국립도서관 및 공공도서관을 19개 지역센터로 묶고 ... 국가기관전산망인 교육연구망에 연결한 것으로 전국 어디에서나 원하는
문헌
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 ...
강원도 민통선 북방지역 식물탐사를 마치고 '한국특산식물의 정리와 보호육성 시급해…'
과학동아
l
199009
제가 이번에 채집한 북통발이 도감에 따라서는 개통발로도 나와있는데 돌아가서 다른
문헌
까지 찾아 정확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북통발이 맞다면 2과6종을 조사하게 되는 셈이죠.김원-민통선지역이라서 그런지 매우 다양한 식물들이 서식하고 있더군요. 낮은 지역과 다른 점도 상당히 ... ...
PARTⅡ 무엇이 정보사회를 가로막는가
과학동아
l
199008
조작한 사건이 발생해 컴퓨터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높였다. 최근 발생한 국회도서관의
문헌
정보자료 유출사건은 정보처리업자의 불법자료유출이라는 시각과 학술정보의 대중적 이용이라는 상충된 견해가 팽팽하게 대립돼 있기도 하다.정보의 무국적성과 통신주권 국가의 중추신경에 ... ...
금세기 최대혜성 오스틴
과학동아
l
199005
태양계 내에서 혜성은 실로 진귀한 대항이다. 그 기이한 모습은 과거의 동서양의 여러
문헌
에 출현을 전후해서 일어난 역사적 사건들이 잘 기록돼있다. 그러나 혜성이 과학적으로 탐구의 대상이 된 후로 혜성의 신비함은 상당히 퇴색했다. 티코브라헤 케플러 뉴턴 핼리 등이 혜성의 본질을 밝히는데 ... ...
기술고고학이 밝혀 낸 사실들
과학동아
l
199003
그런데 그는 고고화학자라고 스스로를 소개했다. 실제로 레비교수는 아랍어 과학
문헌
해석의 세계적 권위자임과 동시에 미국화학회의 고고화학 분과위원회 위원장이기도 했다.미국화학회지에는 그때 이미 고고화학(archeological chemistry)으로 분류된 논문들이 많이 실리고 있었다. 당시에 레비교수는 ... ...
청동기와 거푸집
과학동아
l
199001
75 대(対) 25 또는 80 대 20의 비율로 섞은 청동합금인 향동(響銅), 바로 그것이다. 조선시대
문헌
에 나오는 유(鍮) 또는 유철(鍮鉄)은 놋 또는 놋쇠의 한자이고 유기(鍮器)는 놋그릇의 한자어인 것이다.땅 속에 묻혀있던 유물의 발굴은 역사를 바로 쓰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 일본 학자들은 해방 전에 ... ...
경오(庚午)년을 달리는 에쿠우스 말
과학동아
l
199001
우리나라에 말이 들어온 것은 언제쯤이 될까.우리나라 말의 선조에 관한 조사연구는 옛
문헌
을 통해 꾸준히 진행되고 있지만 불행히도 아직까지 명확한 해답을 얻어내지 못하고 있다.현재까지 발견된 유적이나 기록을 토대로 추측해보면 우리나라 말의 역사는 신석기시대 이후부터 시작된다. ... ...
PARTⅢ 지열발전
과학동아
l
199001
자원공학 재료공학 등이 모두 관련된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총체적 개념의 사업으로,
문헌
조사로부터 실용단계까지 7-13년이 걸린다.■저온 지열의 다목적 이용/지역난방이 주류가장 대표적인 저온 지열이용은 아이슬랜드에서 '하이타베이타'(Hitaveita)로 불리우는 지역난방시스템이다. ... ...
연구실에서 기술정보를 찾아본다
과학동아
l
199001
과거에는 상상할 수도 없었던 커다란 과학기술의 진보이다. 더욱이 도서관전산망은 기술
문헌
정보의 부족을 타개하고 국내 연구개발을 활성화시키는 데 매우 좋은 지원시스템이 될 것이다. 이미 정보의 국제교류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국내 과학기술도 점차 고도화되어감에 따라 우리나라도 해외 ... ...
남북과학교류 추진하는 원병오교수
과학동아
l
198912
북한의 조류학과 조류보호 관리실태를 조사한 적이 있어요. 물론 직접 가보지 않았으니
문헌
조사에 그쳤지만, 북한조류연구 논문의 95% 이상을 조사했다고 자신합니다. 그중 조선조류지에는 북한에서 새로 발견한 미기록 종이 잘 나타나 있고, 두루미류의 도래와 월동실태, 남한에는 1쌍만 남아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