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입 면접고사 가이드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광전자가 튀어나오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빛은 입자이며, 개별 입자(광양자)가
특정
한 값 이상의 에너지를 가져야 전자를 튀어나가게 만들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지요.문 : 지금 계속 빛의‘진동수’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빛이 입자라고 이야기하면서 진동수를 이야기하는 건 모순 아닌가요? ... ...
유전자 차별시대 펼쳐지는 디스토피아 가타카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수 있다 이거죠. 상업적인 요소가 들어가기 시작하면 상당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까요.
특정
사람의 우성 유전자를 훔쳐내기 위한 범죄 등도 떠올릴 수 있을 것 같은데…. 이에 대한 우려는 어떻게 잠재울 수 있을까요.미경_ 그것 때문에 법적 쟁점이 부각되고 있고, 구체적인 대안이 제시돼야 ... ...
동양판 디오판투스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하나요 미지수는 둘이니 바로 부정방정식이다. 이것을 풀기 위해서는 문제 속에서
특정
한 조건을 찾아내야 한다.바로 x 와 a는 각각 0 < x < 198, a > 1이라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를 이용해 부정방정식을 푼다. a가 1보다 큰 자연수이므로 a를 2부터 식 1120 = x + 198 (a - 1)에 넣어보면 x가 0과 198 사이 ...
농구 막슛 65% 성공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어느 정도 여지가 있다. 주어진 투사각에서 바스켓의 중앙으로 지나가는 궤도를 만드는
특정
한 투사속력이 있다. 이보다 약간 느린 속력의 슛은 바스켓의 중앙보다 앞에 떨어지지만 링에 닿지 않거나 링을 건드리면서 바스켓으로 들어갈 수 있다. 약간 빠른 속력의 슛도 비슷한 경우가 발생한다.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돌면서 달려있는 프로펠러도 회전하는 것이었다.연구팀이 개발한 이 나노엔진은 아직
특정
기능을 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생체분자를 이용해서 매우 작은 기기로 만들 수 있다는 나노기술의 미래를 향한 첫번째 발걸음을 옮겼다는데 의미가 있다. 이제는 우리 몸 속에서 외과 처치를 할 수 있을 만큼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요구된다는 점이다. 특히 예상보다 훨씬 적은 수의 인간 유전자가 발견됐다는 사실은
특정
생명현상에서 작용하는 여러 단백질들 사이의 상호관계가 예상보다 훨씬 복잡하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 ...
비타민 C는 만병통치약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비타민을 미세 영양소라고도 부르며, 오랜 기간 동안 이러한 미세 영양소가 부족할 때는
특정
질병을 유발하고, 다시 보충해줬을 때 회복될 수 있다.우리의 몸은 대부분의 비타민을 만들어내지 못한다. 신기하게도 가장 진화된 동물인 인간과 가장 진화가 덜 된 무척추동물, 그리고 물고기는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구동 방식은 (+), (-) 전극 사이에 풀러렌을 고정시켜 놓는다. 그리고 게이트에
특정
전압 이상을 가하면 고정돼 있던 풀러렌이 전극 사이에서 진동하게 된다. 이때 풀러렌이 (-) 전극에 가까이 다가가는 어느 순간에 (-) 전극의 전자가 풀러렌으로 이동한다. 양자 터널링 효과가 일어난 것이다. 또한 ... ...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SNP 연구는 이런 약물들 상당수를 구제할 전망이다. 약물에 대한 부작용이나 효과 없음은
특정
유전자의 SNP에 따른 결과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개인의 유전자에 대한 정보 없이 임의로 대상자를 선정해 임상시험을 해왔기 때문에 유전자가 다른 모든 사람들을 만족시키는 제약산업은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웃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연구 결과도 흥미롭다.미국 캘리포니아대(샌프란시스코) 폴 에크먼 반사는 “인위적으로
특정
한 감정을 만들어내면 몸도 거기에 따른 생리적 변화를 보인다”고 말한다. 입꼬리를 위로 올리고 억지로라도 웃는 시늉을 하면 기분이 좋아질 수 있다는 말이다. 슬픈 역할을 오랫동안 하는 배우는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