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증명과 설명인 것이다. 필림만 넣으면 자동으로 감아주고 조리개, 셔터속도, 초점
조절
까지 알아서 해주는 자동카메라 덕분에 이제는 아무 생각없이 누구나 쉽게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세상이 됐다.그러나 천체사진은 지금까지 나온 어떤 최신의 카메라도 자동으로는 찍히지 않는다. '천체'라는 특별한 ... ...
카오스와 퍼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일본 제품과의 국내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점했다고 밝혔다.먼지량에 따라 모터속도를
조절
하는 퍼지청소기는 당연히 전력소비량이 줄어들고, 쌀의 양이나 형태(일반미 정부미)에 따라 가열하는 패턴을 달리한(뜸들이는 방법 등) 퍼지 밥솥은 밥맛을 돋우는데 탁월한 솜씨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 ...
PART 1. 문답으로 알아보는 그래픽 상식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다르다. 사용자는 자신만의 색깔을 만들어 저장해둘 수 있고 색깔의 명도와 채도도
조절
할 수 있다. 더구나 컴퓨터의 화면은 어느 지우개보다도 강력한 힘으로 구성이나 색상 선택의 시행착오를 몇 백번이라도 되풀이해 수정할 수 있다.또 컴퓨터그래픽 자료들은 그것이 보관되어 있는 디스크가 ... ...
사용하긴 쉬워도 이해하긴 어려운 멀티태스킹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쉽다.이제 효율적인 멀티태스킹을 위해 각 프로그램에 시분할을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조절
관에서 386확장이라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대화상자가 나오는데 여기서 스케줄링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바로 시간 할당을 하는 곳이다. 여기에 적힌 숫자를 보는 요령은 다소 복잡할지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따름이고 이들이 어떤 역할을 한다고 보는 견해도 적지 않다. DNA가 RNA로 바뀌는데 그 기능
조절
을 하는 부분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고 홍주봉 박사는 말한다. 아무튼 "유전자는 염색체에 들어 있고 DNA 일부를 유전자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유전자라는 말에는 모호성이 실릴 수밖에 없다"는 이대실 ... ...
신체 이상 알리는 구명구급시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시티즌 앰뷸런스'란 이름의 시계. 이 시계는 심장마사지 훈련을 할 때 매우 중요한 속도
조절
을 가능하도록 페이스음 기능을 갖추고 있다. 10초 경과할 때마다 소리로 맥박수를 체크하도록 알려주는 타이머 기능도 부착돼 있다.사고나 구급으로 심장이나 호흡이 정지돼 버렸을 때 생사를 결정하는 ... ...
"한국은 2001년 과학입국 목표로 노력 경주"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그 내용은 단백질 분해효소들은 세포내에서 생성된 비정상 단백질과 수명이 짧은
조절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제거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여기서 단백질 분해 효소들이 대장균 세포 내에서 어떻게 이러한 작용을 하는가에 대한 최신정보를 소개한 것이다 ... ...
PART 2. 그래픽 소프트웨어 4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객체 별로 조작이 가능해 여러 객체들이 한 화면에 배열돼 있어도 각 객체의 크기
조절
이동 삭제 색깔변경 작업이 가능하다는데 있다. 우리 눈에는 겹쳐져 보이지만 각각 별개의 영역을 확보하고 있는 것과 같은 모습이다. 이러한 방식을 흔히 벡터 타입의 그래픽 방식이라고 부른다.페인팅 류의 ... ...
생물- 확률 3억분의 1이 펼치는 우연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모체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염분 산소 이산화탄소의 농도, 온도 등이 모체와 똑같도록
조절
해야 한다.난자가 성숙하면 정자를 채취하여 체외 수정을 시켜 수정란이 2-4 세포기가 되었을 때 모체의 자궁에 착상시킨다. 착상 과정이 가장 어려운데, 착상이 되면 수정일로부터 약 2백 70일 지나서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맞지 않은 희미한 구름의 한 조각을 보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망원경의 초점을 앞뒤로
조절
해 보아도, 접안경을 보다 고배율로 바꾸어보아도… 역시 마찬가지다. 뿌연 덩어리 하나를 보고나면 여기서 더 이상 볼 것이 없을 것 같은 것이 초보관측자가 본 느낌일 것이다.그러나 여기서 실망을 하고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