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호
옹호
방어
방위
수호
후원
찬조
d라이브러리
"
보호
"(으)로 총 3,504건 검색되었습니다.
IC 카드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정전기도 순간적으로 수만볼트(V)에 이른다는 점을 감안하면 전기에 약한 칩을 어떻게
보호
할 것인가는 IC 카드제작에서 필연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다. 이미 IC 카드실용화 단계에 돌입한 프랑스등에서는 정전기를 막기 위해 카드에 특수도료를 입히거나 판독기에 무접점으로 연결되는 IC 카드를 ... ...
「라돈 공포」 전세계로 확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조사한 결과 우라늄광산과는 무관한 곳에서도 고농도의 라돈가스가 검출했다.미국 환경
보호
처(EPA)에서는 전국에 걸쳐서 주택의 라돈농도를 조사하기에 이르렀으며 일반 시민들에게 라돈 경계주의보를 내렸다. 조사결과 미국 전역에서 약 8백만 가옥이 기준치(1백50베크렐/㎡, 약 4피코큐리/ℓ)를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지키겠다는 한마음에서 그들은 그 일을 추진했다. 대장경을 펴 내면서 부처님께 나라를
보호
해 달라고 호소했다.해인사에 지금 보존돼 있는 팔만대장경의 목판은 그 사실을 극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8만여장의 목판이 하나같이 똑같게 제작돼 7백50년의 긴 세월을 견디고 살아남아 있다는 것은 ... ...
원형춤·8자춤·엉덩이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먹는 이유는 무엇일까?① 음식을 다시 소화시키기 위해서다.② 흔적을 없애 적으로부터
보호
받기 위함이다.③ 본능적인 행동이며 별다른 의미가 없다.3. 시골의 여름밤에 빛을 내면서 날아다니는 반딧벌레를 볼 수 있다. 이들이 내는 반딧불은 어떤 작용을 할까?① 먹이가 될 작은벌레를 유인한다.② ... ...
사진으로 보는 세계의 희귀 곤충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먹이를 찾기 위해서, 또는 외부의 적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
하기 위해서 곤충들은 온갖 노력을 다한다. 몸 색깔이 외부 환경과 비슷한 것은 물론이고 몸체 자체가 나뭇잎 나뭇가지 꽃등과 똑같은 형태를 갖춘 곤충도 있다. 사진을 중심으로 곤충들의 희귀한 모습을 살펴보자. ...
붕괴위기에 처한 마다가스카르섬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원시림이 소실돼 현재 남아있는 부분은 원래 면적의 10%에 불과하다고 한다. 세계 자연
보호
기금(WWF)은 남아있는 원시림도 30년 이내에 파괴될 것이라고 경고했다.마다가스카르섬은 1억6천만년전 대륙으로부터 떨어져나왔기 때문에 독특한 진화를 한 동식물이 많아 '생물학 표본실'로 불리고 있다. 70~8 ... ...
동위원소 비율로 원산지 추정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유치 해야만 원주민들이 밀렵꾼으로 전환하는 것을 막고, 이들을 오히려 자연
보호
감시원으로 할용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그러나 코끼리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절멸위기에 놓인 국가들은 전면적인 상아무역금지를 당연하게 생각한다. 지난해 7월 케냐의 모이 대통령은 3백만달러어치의 상아를 불에 ... ...
거북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수가 주민들의 남획으로 크게 줄자 주변국가에서
보호
령을 내렸다. 얼마 전에는 국제
보호
동물로 지정되기도 했다.등갑이 1m 이상, 체중이 2백kg이나 나가는 이 코끼리거북은 동작이 매우 느리다. 그래서 먹이도 동물성보다 식물성이 주류다. 특히 선인장이나 나뭇잎 과일 등을 잘 먹는다.오늘날 이 ... ...
'수의사를 좋아하세요?'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인수공통전염병이나 집단식중독, 콜레라등 고전적인 문제 뿐 아니라 식수오염, 대기환경
보호
에까지 눈을 돌리는 것이 오늘날의 공중보건학이다. 이렇게 방대한 연구영역을 보면 오늘날 식품의 위생검사를 수의사가 맡는 이유를 알 수 있다.이외에도 약리학 독성학 기생충학 전염병학 어류병리 내과 ... ...
가정자동화 시대가 열리고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편리성 쾌적성 추구에 있다. 집이란 잘 알다시피 외부 침입으로부터 가정의 안전을
보호
받는 곳이다. 바로 이런 집의 개념은 HA의 시발점이 된다.요즈음 우리는 치안부재의 험악한 사회에서 살고 있다. 마치 이런 사회분위기를 반영 하듯 우리나라에서도 안전보장 기능을 갖춘 첨단 HA제품들이 시중에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