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d라이브러리
"
미래
"(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과학은 주가도 춤추게 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시장에서 의사결정을 할 때 마음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뇌를 보고 알아낸다는 얘기다.
미래
에는 금융기관이 고객의 뇌영상을 분석하는 일까지 일어나지 않으리란 법이 없다.지난달 대우증권은 “내년 4분기에는 코스피지수가 1550까지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예측이 맞을지는 오직 ... ...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적도 있었다고. 이쯤 되면 이들에겐 공부가 ‘짐’이 아니라 즐거움인지도 모르겠다.
미래
의 과학기술 지도자라면 영어는 필수. 학생들은 토플(TOEFL)시험은 물론 ‘테크니컬 라이팅’(technical writing)이란 과목에서 영어 논문 작성법을 배운다. 학생들에겐 재학 중 해외 수학여행이나 미국 명문대 ... ...
질병 없는 세상,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연구에 힘과 노력을 쏟을 과학자들이 많아 치료용 배아줄기세포의 실용화에 대한
미래
는 밝다고 할 수 있다.실제로 줄기세포를 인체에 적용하는 데 따르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안규리 교수를 만나 앞으로 어떤 과제가 남아 있는지에 대해 들어 보았다 ... ...
2005 과학기술 창작문예 공모전 시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별상’을 쓴 김창규씨, 단편소설 부문은 글자판 ‘D’에 지적재산권이 부여된 가까운
미래
의 상황을 다룬 ‘Smart D’의 배명훈씨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아바타와 실제 인간의 관계를 정교하게 다룬 ‘아바타 학교’(아동문학)의 정재은씨, 비행기 설계 과학자의 비행담을 다룬 ‘하늘을 날던 ... ...
디지털 주얼리(Digital Jewelry)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높은 제품이 바로 휴대전화. 점점 날씬해지고 작아지는 단말기의 진화 과정만 봐도 그
미래
가 쉽게 짐작이 가능하다.참드테크놀로지(Charmed Technology)가 개발한 벨트와 헤드셋이 결합한 멀티미디어 액세서리 세트에도 역시 휴대전화 기능이 들어있다. 이 벤처회사는 대기업인 IBM이 디지털 장신구를 ... ...
3. 수학은 돈 버는 여의봉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종류가 늘어나면서 주먹구구식으로 하는 투자는 성공하기가 힘들어졌다. 특히
미래
에 이뤄질 거래 가격을 현재 시점에 고정시켜 거래하는 파생상품이 등장하면서 수학은 어느 무엇보다 더 중요한 투자의 도구가 됐다. 고등학교때 배운 미적분은 사회 나가서 ‘정말’ 써먹을 데가 많다(사실 ... ...
디지털 지휘봉과 뮤지컬 재킷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컴퓨터로 인해 예술가는 새로운 음악의 장르를 개척하고 있는 것이다.그리 멀지 않은
미래
에 컴퓨터가 작곡한 교향곡이 음악회에서 연주되는 것은 기본이고 음악을 내 손으로 만지고, 내 옷에 달고, 내가 가는 곳에 항상 데리고 다니게 될 것이다.이쯤 되면 예술가는 스스로 음악을 하는 사람을 ... ...
4. 과학자가 증권가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비교적 단순한 파생상품의 결합이다. 실제 금융공학을 응용해서 투자상품의
미래
가치를 구하는 과정에는 기체의 움직임을 연구한 브라운법칙과 열역학법칙, 심지어는 인체의 신경계를 응용한 모델까지 등장한다. 과학자의 마인드가 있으면 도움이 되는 정도가 아니라 없으면 한걸음도 나아갈 수 ... ...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3학년생이 대뜸 이렇게 얘기했다. 그는 자연계열에 과학탐구영역 중 물리를 선택했다.
미래
의 컴퓨터공학도답게 물리 중에서도 전자기학을 좋아한다. 렌츠의 법칙, 플레밍의 왼손, 오른손 법칙을 줄줄 꿰고 있다. 그런데 ‘전자기학의 아버지’격인 맥스웰은 알지 못했다. 담당 교사는 “교과서에 ... ...
바이러스는 이유 있는 심술꾸러기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않는 슈퍼박테리아를 죽일 수 있다고 말하는 그는 “바이러스와 인간의 공생은 필연적인
미래
”라고 주장했다.이 교수가 1990년 지도교수로 신입생을 만났을 때였다. 30분 가량 미생물에 대해 이것저것 들려줬다. 강의가 끝나고 그에게 문득 ‘과연 학생들의 머리 속에 뭐가 남았을까’라는 의문이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