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1 소미더뭐니] 최고의 흰 소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동물 복제 기술을 연구하며 어떤 점이 어려웠나요?최근 복제 기술보다는 수정란 이식 등 다른 기술을 개발하고 있어요. 수정란 이식이란 한 번에 우수한 송아지를 많이 낳기 위한 기술이에요. 튼튼한 암소가 난자를 많이 배란하도록 호르몬 주사를 놓고, 수소의 정액으로 수정시켜요. 그리고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청주동물원, 토종동물 보호소를 꿈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재개할 계획입니다. 온라인을 통해 청주동물원의 야생동물을 만나고, 동물원의 역할 등을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도 기획하고 있습니다. 어린이 친구들과 함께 야생동물인 고라니와 멧돼지가 도심으로 내려오는 이유를 알아보고,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어떤 실천을 할 수 있을지를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 인공지능이 심판 본다! 청기백기 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엔트리 인공지능이 여러분의 팔, 몸통, 다리의 위치와 사람의 수 등을 자동으로 인식하지요.이처럼 각 신체 부위의 위치와 움직임을 분석하는 인공지능 기술은 실생활에도 사용되고 있어요. 예를 들어, 스포츠에서는 운동 선수의 모습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자세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제트기류, 체세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유래한 영단어 cell(세포)가 더해진 말이에요. 이름처럼 체세포는 생물의 피부, 장기 등 여러 조직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지요. 생물은 체세포에 종별로 같은 수의 염색체*를 갖고 있어요. 예를 들어 사람은 체세포에 46개의 염색체, 고양이는 38개의 염색체가 들어 있답니다. 생물은 체세포 분열로 ... ...
- [기획] 동양 vs 서양, 누가 먼저 찾았을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정리와 현재 우리가 쓰는 삼각함수와 비슷한 형태의 공식, 제곱근에 대한 근삿값 등 매우 복잡한 식을 풀어야 했습니다. 3.141592까지 알아낸 조충지서양의 학자보다 먼저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6번째 자릿수까지 정확하게 맞힌 것은 중국의 수학자였습니다. 기원후 250년경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 ... ...
- [하비맨] 파이데이를 기념하며 키슈에게 ‘Kiss You’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는 없다며 회의적이었다고 합니다. 그 후에도 다양한 시도가 있었지만, 임의의 각을 3등분하거나 임의의 정육면체보다 2배 넓은 면적을 가진 정육면체를 그리는 그리스 시대의 두 가지 난제와 달리 원적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이유는 오랜 시간 동안 증명하지 못했습니다. 원적문제가 해결할 수 ... ...
- [이달의 우주 날씨] 수성 관측? 각도부터 알아야 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등은 지구에서 맨눈으로도 관측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분, 하늘에서 수성을 발견한 적이 있나요? 수성은 관측하기 까다로운 행성이라서 본 사람이 적을 거예요. 수성을 보기 힘든 이유는 수성의 공전반지름 때문입니다. 태양계 첫 번째 행성인 수성의 공전반지름은 ... ...
- [한페이지 뉴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국내 첫 접종 시작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예정인 아스트라제네카의 미국인 대상 3상 임상시험 결과(65세 이상 고령층 약 22% 포함) 등 추가 자료를 확보해 65세 이상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그간 진행된 임상시험에서 고령자의 비율이 낮을 뿐 고령층이 백신 효능과 안전성 측면에서 취약하다는 근거가 없어 논란이다 ... ...
- [한페이지 뉴스] 큰고래 노랫소리로 해저지형 그린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조사할 때에는 흔히 탄성파를 이용한다. 에어건 등 음원 장치로 바다 밑에 인공 음파를 발사해 파동이 전파되는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음파가 물속을 이동하다가 지면을 만나면 반사되며 일부 파동의 에너지가 바뀌는데, 이를 통해 해양지각의 두께뿐만 아니라 암석의 종류까지 알 수 있다.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GNSS)의 단일 및 이중 편광 측정’ ‘적외선, 가시광선, 초분광 카메라 작동’ 등의 연구가 수행됐다. 지금까지 바다에서 실시된 가장 큰 규모의 원격 탐사 실험이었다. 이번 연구로 우주에서 해빙을 관찰하는 것이 단순히 사진을 찍는 것과 같이 쉽지 않다는 것 역시 알 수 있었다.우리의 또 다른 ... ...
이전3053063073083093103113123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