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청량음료에도 수상업적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텍스다.또한 테플론은 우주복의 외피로도 사용된다. 테플론은 우주의 특수한 환경에서
태양
의 강력한 복사열에도 견딜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최초로 궤도비행에 성공한 존 글렌의 우주복도 테플론이 코팅된 것이었다. 우주선의 앞부분이나 기타 내열 보호막 또는 연료탱크에도 테플론이 사용되고 ... ...
사랑의 신 에로스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지구 궤도에 접근하는 소행성과 혜성들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과, 과거의 창을 열고
태양
계 및 행성 기원에 대한 의문을 푸는 열쇠를 지닌 판도라의 상자를 여는 새로운 계기가 되고 있다. 남은 탐사를 지켜보자.소행성 소유권 주장도가까운 장래에 이루어질 소행성 탐사계획은 소행성 표면을 직접 ... ...
만약 전자의 스핀이 0으로 된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밀치면서 중력에 의한 수축에 대응한다. 이러한 별을 중성자별이라고 한다. 별의 질량이
태양
의 열배 정도 되면 중성자들의 압력이 중력을 더이상 지탱하지 못해 붕괴되면서 블랙홀이 되고 만다.수소 원자 수십개로 이뤄진 수소 분자 가능이와 같이 자연계의 많은 현상들이 전자, 양성자, 중성자 ... ...
빛으로 소리 전달하는 레이저통신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레이저 빛이 지나가는 사이에 향을 피우면 연기로 인해 레이저 빛이 산란된다. 때문에
태양
전지로 향하는 빛의 강도가 약화되고 통신에 잡음을 만든다. 많은 장애물과 안개로 지상보다 진공상태인 우주에서 레이저 통신이 수만km의 위력을 발휘하는 이유다. 현재 극도의 보안을 요하는 군사용이나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아래에 있다.
태양
이 매년 3월 21일 춘분날 이 점을 통과하는 것이다. 이제 양자리는
태양
이 머무는 황도의 마지막 별자리로 물러난 셈이다.기원전 2세기에는 천문학자들이 말하는 별자리와 점성가들이 말하는 황도12궁이 서로 일치했다.하지만 점성술사들이 세차운동을 전혀 알아채지 못하는 사이 ... ...
카멜레온처럼 변화무쌍한 특수잉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다른 한편으로 불편한 점도 있다. 눈부신 햇살이 눈을 매우 피로하게 만드는 점이다.
태양
이 눈부시게 내리쬐는 여름이 다 지나가고 있다. 하지만 가을에도 햇살의 뜨거움만이 약해질 뿐 눈부심은 계속된다.실내에서는 안경, 실외에서는 선글라스여름이나 가을 중 눈부심이 강한 날에는 눈이 쉽게 ... ...
바닷물 전기분해 이용한 적조문제 해결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다시 나트륨이온과 결합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만든다.알칼리성인 차아염소산나트륨은
태양
빛 아래에서 일정시간이 흐르면 다시 나트륨이온과 산소,그리고 염소이온으로 나눠져 바닷물의 조성에는 변화가 없다.연구팀은 바닷물을 전기분해하고 여기서 발생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살포할 수 있는 ... ...
3. 황금종 개구리가 이끈 환경올림픽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서로 어울려 자랄 수 있도록 혼합식재를 시도하기도 했다. 이러한 나무들은 암반이나
태양
빛이 강한 곳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내성을 갖게 된다.또한 호주에서 발견되는 꽃나무 1만8천여종 가운데 무려 1만5천여종이 전세계 어디에서도 발견할 수 없는 종자들이다. 2백95종의 포유류 중에서 2백50종이 ... ...
갈릴레이 뛰어넘기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므로
태양
에서 오는 빛을 반사해 빛난다.지구 주위를 돌면서
태양
빛을 반사하는 달표면이 달라지므로 달의 모양이 바뀐다.보름에서 다음 보름까지는 정확히 29일 12시간44분2.8초가 걸린다.갈릴레이는 스스로 만든 망원경으로 그동안 신비에 쌓여있던 달 표면의 여러 모습을 ... ...
인류 우주관의 혁명가 허블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6세기 코페르니쿠스는 천체가 지구가 아닌
태양
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다는
태양
중심설을 주장했다.이로부터 약 4백년이 흐른 20세기초 허블(Edwin Hubble,1889-1953)은 인류우주관에 '제2차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 할 수 있는 혁명을 일으킨다.혁명의 내용은 간단하다.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님을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