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기구 타고 날씨와 우주를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1782년 발명된 이후부터 수많은 사람들을 태우고 하늘을 날아왔어. 지금도 관광이나 레저 스포츠로 기구를 많이 사용해. 하지만 기구는 과학 연구에도 중요한 몸이란 말씀! 어디에 쓰이냐고? 탈것에서 날씨를 관측하는 도구로!‘기구’는 바깥보다 기구 안의 공기를 가볍게 만들어 위로 뜨게 한 ... ...
- [가상인터뷰] 모기 먹는 모기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요즘 푸푸와 나는 매일 밤 모기와 전쟁을 벌이고 있거든. 모기 때문에 잠도 설쳐서 지금도 하품이 나온다니까. 그런데 얼마 전 모기를 먹는 모기가 있다는 소식을 들었어. 세상에 이런 기쁜 소식이! 이제 모기 걱정 없이 발 뻗고 자도 되는 걸까? 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 안녕하세요? 저는 ... ...
- Intro. 초고층 빌딩을 넘어 우주로! 슈퍼 엘리베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헤헤헤. 난 지금 아주 맛있는 해바라기 씨를 판다는 맛집으로 가고 있는 중이야.인터넷에서 검색해 보니 이 엘리베이터를 타면 된다고 했는데….근데…, 이거 도대체 몇 층까지 올라가는 거지? 헉! 세상에 말도 안 돼! 고도 3만 6000km라고?! 으악! 이건 우주로 가는 엘리베이터잖아! ▼관련기사를 ... ...
- Part 2. 초고속 엘리베이터로 꼭대기까지 빠르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지금 사우디아라비아에는 무려 1km가 넘는 초고층 빌딩이 지어지고 있어요. 아파트에 설치된 보통의 엘리베이터로는 20분이나 걸리는 높이지요. 이런 초고층 건물의 꼭대기까지 가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의 속도도 훨씬 빨라져야 한답니다. 롤러코스터 속도로 움직이는 초고속 엘리베이터지난 6월 ... ...
- [현장취재②] 기상천외 메이커, 메이와덴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1960년대에 저희 아버지가 만든 회사예요. 아버지에 대한 사랑과 존경을 담아 지금도 그 이름을 계속 쓰면서 당시 만든 공장에서 메이커 제품들을 제작하고 있지요.” 1일 워크숍에서 토사 사장은 메이와덴키의 장난감 ‘치와와 피리’를 만드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어요. 빨대와 고무풍선, 감자칩 통, ... ...
- Part 2. 하늘소떼가 도시까지 몰려온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이렇게 위험한 도시에 왜 떼로 몰려오게 됐냐고? 우리도 다 사정이 있지. 북한산은 지금 하늘소에게 안성맞춤!지난 여름 왜 갑자기 서울에 하늘소 떼가 나타난 걸까요? 그 원인으로는 먹이와 날씨, 생체 주기 등 여러 가지를 꼽을 수 있어요.먼저 최근 몇 년간 북한산에서 유행하고 있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드디어 밝혀지는 보물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타고 있는 유령 마을 미국 펜실베니아 주에 위치한 ‘센트레일리아’ 마을은 1962년부터 지금까지, 무려 55년 동안이나 화재가 계속되고 있어요. 무슨 일이 벌어졌던 걸까요? 센트레일리아는 광산으로 유명한 마을이었어요. 1860년대에 탄광이 열리면서 광부들이 마을에 정착했고, 인구는 3000명에 ... ...
- Part 3. 하늘소,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지금보다 더 많은 자료가 쌓이겠죠? 자료가 충분히 쌓이면, 새로운 도감을 써 보려고요. 지금보다 더 많은 종을 추가하고, 유충과 번데기 단계의 특징까지 추가해 빈틈없는 하늘소 도감을 쓰는 게 꿈이랍니다. 기회가 되면 지구사랑탐사대와 함께 하늘소 탐사를 해 보고 싶네요. Q.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1970년대에 우리나라에서 사라진 종어는 2000년대 중반 우리 연구소에서 복원에 성공해 지금은 금강 등지에서 볼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고유종은 얼마나 될까요? 답은 61종! 그 가운데에는 중앙내수면연구소 앞에 있는 조종천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종도 있어요. 바로 ...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연령대가 다르거나 거대 집단에서 나올 수 있는 정상적인 변이 때문이라는 거지요.지금까지 암수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많은 수의 표본을 연구한 자료가 없다는 점도 꾸준히 지적되고 있어요. 예를 들어 두 마리의 화석을 비교할 때는 같은 부위의 뼈를 비교해야 해요. 그러나 한 마리는 ... ...
이전3043053063073083093103113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