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진화 속도 생각보다 빠르다과학동아 l2002년 04호
- 서로 비교해 속도를 추정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분자시계는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경우 0.02s/s/Myr다. 이 숫자는 한 지역에서 1백만년 동안 2% 정도 DNA에 변이가 일어난다는 뜻이다. 또한 모든 동물의 DNA 중 변이가 많이 일어나는 부위(HVRI)의 분자시계는 0.208s/s/Myr 정도였다.그런데 램버트 ... ...
- 1 개인별 맞춤약물 제조시대 개막과학동아 l2002년 04호
- 복용환자는 발기부전, 성기능 감퇴의 부작용을 보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환자의 체질과 유전적 환경에 맞춰 새로운 대머리 치료제를 개발중이다.또한 날씬하고 건강한 삶을 위한 신약연구분야에서는 기존 비만약인 제니칼과 리덕틸의 부작용을 개선해 ‘나만의 비만약’을 만들고 있다 ... ...
- 4 동물실험 대체할 독성 DNA칩과학동아 l2002년 04호
- 정상 유전자의 발현 정도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안전성을 평가한다.앞으로 독성유전체학이 더욱 발달하게 되면,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 뿐 아니라, 동물을 희생한다는 심리적·윤리적 거부감을 감내해야 하는 동물실험 없이도, 후보물질의 독성여부를 쉽게 가려낼 수 있다.디지털 가상세포에서 효능 ... ...
- ET vs 에어리언과학동아 l2002년 04호
- 막연한 기대인 것에 반해, 박테리아 수준의 외계 생명체 탐사는 생명 기원에 대한 연구나 유전자 연구, 새로운 약품의 개발 등 구체적인 목적을 갖고 있다. 지구 밖의 생명체를 찾는 것은 SETI 프로젝트보다 낙관적으로 보이는데, 많은 과학자들이 태양계 안에서 외계 생명체를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 ...
- 2 최정예 후보물질 대거 선발과학동아 l2002년 04호
- 더욱이 생활 여건이 향상된 요즘, 건강은 현대인의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특히 유전체학(게노믹스)와 단백질체학(프로테오믹스)를 중심으로 한 생명공학 분야의 새로운 연구결과들이 봇물처럼 쏟아지는 최근에는 새로운 약에 대한 ‘갈망’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하지만 신약개발은 물질의 ... ...
- 먹을거리 논쟁과학동아 l2002년 03호
- 성인병의 주요 원인은 복합적이며 불분명하다. 질병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있다. 비만이 운동부족 같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당뇨병의 경우에도 당뇨의 종류에 따라 원인이 다양하다. 따라서 단순히 과다한 육류 섭취가 비만이나 당뇨병의 ...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과학동아 l2002년 03호
- 하다. 파필로마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제와 백신이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기타이밖에도 유전자 치료벡터로 이용되는 아데노 바이러스, 아데노 부속바이러스, 레트로 바이러스 등도 매우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 ...
- 평생 충치 예방하는 치약과학동아 l2002년 03호
- 박테리아가 설탕을 젖당으로 바꾸기 때문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치약에는 이 박테리아를 유전공학을 이용해 젖당을 생산하지 못하는 변종 박테리아가 포함돼 있어 충치를 막을 수 있다.연구팀은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수행했다. 그 결과 다량의 설탕을 섭취한 쥐의 이빨이 썩지 않았고, 오히려 ... ...
- 갑각류가 곤충으로 진화된 단서과학동아 l2002년 03호
- 것이다”라고 말했다. 4억년 전 몸의 모든 분절에 다리가 달려있던 갑각류의 규제유전자에 변형이 발생, 다리가 6개 달린 곤충을 비롯해 여러 새로운 형태의 동물들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 ...
- 3. 한국인 식생활 이대로 좋은가과학동아 l2002년 03호
- 이유는 무엇일까. 소아 비만은 영양 과잉과 잘못된 식습관, 활동 감소 등의 영향과 유전적 요인, 심리적 요인 등이 합해진 복합적인 양상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비만 아동들은 신체적 발육 뿐 아니라 정신적 발육에도 큰 문제가 발생한다. 다른 사람보다 뚱뚱하다는 신체적 결함을 이유로 학교 ... ...
이전3043053063073083093103113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