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에디슨은 여러 번의 실패와 오랜 노력 끝에 1879년 쓸 만한 백열전구를 만들었다. 그 뒤에도 연구를 계속 이어갔다. 발견된 몇 가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 실험을 시작했다. 그러다 1883년 높은 온도로 가열된 금속이나 반도체 표면에서 전자가 ... ...
- 한글을 그리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돋움, 바탕, 굴림, 궁서부터 안상수체까지. 문서 파일을 열어보면 폰트의 종류가 많다. 얼핏 보면 비슷해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제각기 모양이 다르다. 이렇게 다양한 폰트를 만드는 원리를 알면 내 글씨로도 폰트를 만들 수 있을까?손글씨에서는 그 사람의 성격이나 특유의 성향이 드러난다. 반면, ...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일반상대성이론은 중력이론인 동시에 시간과 공간과 물질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이론의 유력한 후보다. 이때 일반적이라는 말은 모든 것을 일관되게 서술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여러 다양한 현상을 하나의 이론으로 통일해 설명할 수 있다면 그 이론은 더 진리에 가깝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렇 ... ...
-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빅데이터, 웨어러블, 사물인터넷. 미래의 기술에는 아직 해결하지 못한 문제가 많다. 전병곤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는 게 컴퓨터공학의 역할이라고 말한다. 지금도 세상의 미해결 문제와 씨름하고 있는 전 교수를 만나 컴퓨터공학의 매력을 물었다. [마이크로소프트사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모든 인류는 약 15만 년 전에 아프리카의 한 여성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로부터 유전되는 미토콘드리아의 DNA를 분석한 결과다. 아프리카에서 태어난 인류는 10만 년 전에 중동에, 7만 년 전에 서아시아에 진출했다. 6만 년 전에는 오세아니아, 4만 년 전에는 유럽에도 현생인류가 살게 됐다. 이동 시기 ...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같은 고등학교에 다니는 A와 B는 중학교 때까지만 해도 ‘절친’이었다. 하지만 고등학교에 들어온 뒤부터 두 사람 사이에 거리가 생기기 시작했다. A는 가정 형편과 성적, 성격, 외모 등 어느 것 하나 빠지지 않는 소위 ‘엄친아’였던 반면 B는 모든 면에서 평범한 학생이었다. 둘 사이가 소원해진 ... ...
- 카레이서 ‘ 차타니 막달리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세기의 자동차 경주! 우승자에겐 멋진 스포츠카를 선물로 드립니다!’우연히 길거리에 떨어진 전단지를 받아본 썰렁홈즈. 탐정 사무소 실적이 부진해서 자동차를 살 수 없었던 썰렁홈즈는 우승자 선물이 자동차라는 말에 무조건 참가하기로 한다.대회날 아침, 자동차 경주가 열리는 곳엔 벌써 어 ...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2015년 10월 21일. 1985년 개봉한 영화 ‘백투더퓨처’에서 타임머신 자동차의 시계에 찍힌 날짜다. 당시 상상했던 30년 뒤의 미래가 바로 올해인 2015년이다. 시간여행은 우주여행과 더불어 SF의 단골 소재다. 시간여행은 과학 법칙으로 정당화될 수 있을까. 상대성이론은 시간여행의 가능성에 대해 어떻 ... ...
- Intro. 일상을 지배하는 미적분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수학은 자연 속에 이미 숨겨져 있는 법칙을 발견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수학에는 본질적으로 발명이란 없다. 여기에 단 한가지 예외가 있으니, 바로 미적분학이다. 17세기 두 천재가 발명한 미적분학을 통해 인류는 우주 탄생의 비밀을 밝히고 현대의 다양한 사회현상까지 상세히 해석하고 예측해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근대 철학의 아버지이자 해석기하학의 창시자인 르네 데카르트는 “물리학의 모든 대상은 기하학으로 환원된다”고 했다. 기하학은 당시 사람들이 수학과 같은 뜻으로 쓰던 말이었다. 자연현상을 이해하는 데 수학의 중요성을 강조한 데카르트 덕분에, 이후의 학자들은 놀라운 발전을 이끌게 됐다 ... ...
이전3043053063073083093103113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