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칼리지
대
university
d라이브러리
"
대학교
"(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동완성으로 보는 너에게 수학이란?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학생들도 좀처럼 수학에 다가가기 힘들어하는 것 같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임희석 고려
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는 “수학은 모든 과학 분야와 깊이 관련이 있다”며, “시험이나 입시를 위한 공부에서 벗어나 스스로 생각하는 공부를 해야 한다”고 실생활에서 수학을 찾아 공부하라고 ... ...
Intro. 공평하게 나눠드립니다! 다솔로몬의 분쟁상담소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내 이름은 다솔로몬. 지혜로운 분배의 아이콘이지. 나로 말할 것 같으면 쌍쌍바를 똑같이 잘라달라는 자매부터 닭 다리를 두고 싸우는 형제까지 평등하게 나눠주지 못한 적이 없고 해결하지 못한 분쟁이 없는 사람이야. 내 도움이 필요한 손님이 또 들어오는군. 보아하니 동생이 오빠에게 쌓인 게 ... ...
Part 1. 여성화장실 줄만 너무 길어요!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1분 21초인 남성보다 길었어. 붐빌 땐 한 칸만 줄여도 비상사태2017년 7월, 벨기에 겐트
대학교
에서 ‘대기행렬이론’을 연구하는 바우터르 로히스트 교수팀이 화장실 분배법을 계산했어. 대기행렬이론은 20세기 초, 전화선이 부족해 전화교환원이 선을 연결할 때까지 기다려야 통화를 할 수 있던 때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카드 병사를 구하라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
Part 2. 미세 플라스틱 옷에서 만들어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옷을 세탁기에 넣고 돌리면, 아주 작은 크기의 미세섬유가 떨어져 나와요.영국 폴리머스
대학교
교수팀은 빨래를 할 때 얼마나 많은 미세섬유가 만들어지는지 실험해 봤어요. 일단 아크릴 옷과 폴리에스터 옷, 폴리에스터와 순면을 섞은 옷, 이렇게 세 분류로 구분했어요. 이를 각각 6kg씩 세탁기에 ... ...
Part 5. 플라스틱 발자국을 줄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330억t씩 만들어질 것으로 추측되고 있지요.버려지는 양도 어마어마해요. 미국 조지아
대학교
의 제나 잠백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매년 바다에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은 약 500만 ~ 1300만t이에요. 잠백 박사는 “사람이 바다를 한 걸음 걸을 때마다 쓰레기로 꽉찬 비닐봉지 5개가 생길 정도로 ... ...
Part 1. 채소왕 시금치의 특별한 프로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같은 시금치여도 요리 방법에 따라 섭취하는 영양소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답니다. 충남
대학교
육홍선 교수팀은 시금치를 나물로 만드는 우리나라의 요리법이 생으로 먹는 것보다 건강에 좋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연구팀은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시금치와 데친 뒤 양념에 무쳐 나물로 만든 ... ...
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나’와 ‘나의 부분’이 같다?기독교 문화 속에 살았던 중세 유럽 사람은 시간을 초월해서 무한한 창조력을 가진 신을 믿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무한의 정체에 관해서도 끊임없이 논의했다. 대부분은 무한이 ‘끝도 없이 커지는 상태’라는 데 동의했다. 이렇게 끝도 없이 커지는 상태로만 보 ... ...
Part 5. 무한에 울고 웃는 사람들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웰컴 투 무한호텔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Part 5. 무한에 울고 웃는 사람들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4색 정리의 응용판! 베크너의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미국 콜로라도 덴버
대학교
교수와 브렌트 토마스 박사, 소골 야한베캄 미국 로체스터공과
대학교
교수가 컴퓨터를 이용해 문제를 풀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4색 정리를 해결할 때 사용했던 기술을 적용해 베크너의 문제를 증명했습니다. 1976년 미국 수학자 케네스 아펠과 볼프강 하켄은 4색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