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d라이브러리
"
나
"(으)로 총 8,15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함수의 편미분항으로 이뤄진 편미분방정식이 이보다 더 어렵다는 건 자명합니다.
나
비어-스톡스 방정식을 풀려면 현대수학 이론이 지금보다 훨씬 발달해야 합니다.”최근 100년은 편미분방정식의 해의 존재 여부를 검증하는 역사였다. 2015년을 살아가는 우리는, 이제 막 형태를 갖춘 편미분방정식의 ... ...
[과학뉴스] 암살엔 역시 ‘모신
나
강’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엄청납니다. ‘저렇게 큰 걸 들고 와도 안 걸릴까’ 하는 생각이 들죠. 총 길이가 1.2m
나
되니 박스가 클 수밖에요. 총구에 대검을 꽂으면 창에 맞먹습니다 ...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다만 분석 결과로 맛을 정밀하게 추정해볼 수는 있다. 샴페인에서는 40개가 넘는 향료가
나
왔는데 이중 26개가 사람이 맛을 느낄 수 있는 농도를 넘었다. 소믈리에들이 흔히 ‘치즈 맛(cheesy)과 과일향(fruity)이 강하다’고 표현하는 와인들과 비슷한 결과였다. 근처 와인가게에 들려 치지하고 프루티한 ... ...
눈물은 그만~! 맵지 않은 양파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양파를 썰다 보면 매운 성분 때문에 눈물이
나
요. 그런데 눈물이
나
게 하는 양파의 성분을 약하게 해서 눈물이
나
지 않게 만든 양파가 개발됐어요.2002년 일본의 식품 ... 연구용일 뿐 판매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어요. 그러니 당분간은 시장에서 맵지 않은 양파를 만
나
긴 어려울 것 같네요 ... ...
[생활]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다른 정보를 조합해 인증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그 중 하
나
가 ‘지속 인증’이다. 사용자가 눈치 채지 못하는 사이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여러 정보(생체정보, 위치, 시간 등)를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조합해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이다. 대표적으로 얼굴과 목소리가 쓰일 ... ...
[참여] 게임카페 1기, 두 번째 수업 오늘은
나
도 컴퓨터 게임 개발자!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게임회사에 가서 직접 게임을 만드는 건 어른이 돼야 가능할까요? 천만의 말씀~. 오늘은 게임 카페 1기 학생들이 직접 컴퓨터 게임을 만들어 볼 수 있는 날이랍니다. 비록 비 ... 세 번째 수업에서는 좀 더 뛰어난 게임 개발자가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그럼 다음 호 게임카페에서 만
나
요~ ... ...
[과학뉴스] “
나
는 여성 엔지니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원로그인’에서 플랫폼 엔지니어인 이시스 웽거가 회사의 구인광고 모델로
나
선 것이었다. 광고를 본 일부 남성들이 SNS에 ‘저런 미인 엔지니어가 있을 리가 없다’, ‘실력 있는 남성 엔지니어를 유인하기 위한 것’이라는 등의 성차별적인 글을 올렸다. 심지어 웽거가 그 회사의 직원이 ...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근육 분화가 활발해 지는 걸 확인했죠.그: 그럼 혈액에는 노화를 방지하는 miRNA가 없
나
요?기: 전문가들은 혈액에도 있을 거라고 봐요. 생명연에서도 현재 혈액에 있는 miRNA를 연구하고 있고요. 3년 후쯤이면 알게 될지도 모르겠네요. 그때 다시 이야기 하기로 해요. 그때도 굳이 피가 필요할지는 ... ...
HFT, 인간을 주식시장에서 쫓아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적이 있다. 하지만 이를 두고 HFT를 비난하는 것은 부당하다. 인간도 ‘블랙프라이데이’
나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 등으로 세계경제를 파탄으로 몰고 간 바 있다. 아직까지는 인간도 실수를 하고 알고리듬도 실수를 하는 것이다. MIT 금융공학과 앤드류 루 교수는 오히려 컴퓨터가 이런 실수를 ... ...
[10년 후
나
를 디자인한다] 통일을 준비하는 물 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이용해 물을 걸러주기만 하면 된다. 이렇게 황금연못을 만들어 준 곳이 지금까지 17개
나
된다.왜 이런 활동을 하느냐는 질문에 조 교수는 “공학은 ‘인간’이라는 변수를 가진 학문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람들이 힘들어 하니까, 또 필요로 하니까 공학이 발전하는 겁니다. 공학을 영어로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