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희망
소망
염망
예상
예기
기원
소원
d라이브러리
"
기대
"(으)로 총 5,20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변화를 빛으로 알려 주는 스위치로 이용할 수 있어 나노센서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네가티브 슈퍼코일링(negative supercoiling)차곡차곡 염기결합을 하고 있는 DNA가 RNA를 만들기 위해 이중나선을 푼다. 이 때문에 DNA의 다른 쪽에는 거꾸로 염기결합의 밀도가 높아지며 만원버스처럼 ... ...
별들의 고향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페르세우스 별자리에서 아기 별이 태어나는 곳이 새로 발견됐다.NGC1333이라고 불리는 이 성운은 지구에서 1000광년 떨어져 있다. 구름과 먼지가 빛을 많이 반사하는 반사성운이다. 새로 ... 차이를 알아내면 이 지역에서 별과 행성이 만들어지는 비밀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하고 있다 ... ...
1. 과학은 주가도 춤추게 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분석하겠다고 나섰다. 시장에 거래되는 상품 가격을 보고 주가가 어떻게 될 거라고
기대
하는 심리를 확률분포로 추출해내는 것이다. 확률분포를 보고 상품의 가격을 결정하던 기존의 방법과 반대다. 이에 대해 미국계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과일 값을 보고 과일샐러드 가격을 추정하는 게 아니라 ... ...
뇌는 블랙박스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누구나 같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므로 교육을 통해 모든 사람에게서 같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는 이념까지 생산했다.사람의 뇌는 3만개 유전자가 성장시기별로 발현해 부분을 이루고 전체를 만든 구성체로 10의 12제곱수의 신경세포가 10의 15제곱개 연접(서로 맞닿은 곳)을 통해 작동한다. 이를 ... ...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진화했는지 명쾌한 답을 제시하지 못했다. 그는 자신의 연구가 해답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
하고 있다.찬드라 너는 내 운명 - 김동우서울대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학위까지 받은 ‘토종’ 한국인이다. 미국 하버드대에서 박사후 연구원까지 지낸 뒤 1991년 충남대 천문우주과학과 ... ...
예술과 과학의 화려한 만남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아무리 연기와 노래를 잘 해도, 음악이 아무리 좋아도 시각적 자극이 없으면 흥행을
기대
하기엔 무리다. 때깔 좋은 사과가 먹기도 좋은 법. 공연 제작팀은 관객에게 재미있고 ‘화끈한’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무대장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아이다’에서 주인공 아이다의 주인이자 연적인 ... ...
고집적 vs 고효율 형광등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부드러운 색을 냈기 때문에 두 회사는 마즈다가 옥내 조명 시장을 석권할 수 있으리라
기대
했다. 마즈다가 뉴욕세계박람회에 조명장치로 대량 설치되면서 이런 희망은 한발 앞당겨지는 듯 보였다. 마즈다의 불빛은 박람회장의 색조와 적절히 조화돼 해가 진 뒤에도 관람객들을 박람회장으로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전용 모뎀 개발 여부에 따라 전송 속도는 최대 9Mbps까지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꿈은 크게 안구가 빨리 움직이는 렘수면과 그렇지 않은 비렘수면으로 구분된다 렘수면은 잠자는 동안 90분-1백분 간격으로 되풀이되며, 이 기간에 대부분의 꿈을 꾼다 렘수면 동안 뇌파는 평소와 다른 저진폭의 ... ...
2005 노벨상 세상을 사로잡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있다. 꾸준한 지원과 헌신을 통해, 가까운 미래에 한국 과학자에서 수상자가 나오기를
기대
한다. 올해 노벨 물리ㆍ화학ㆍ생리의학상을 받은 과학자들과 그들의 업적을 살펴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5 노벨상 세상을 사로잡다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2. 다재다능한 중매쟁이 촉매 ... ...
비정상 입자를 명품으로 키운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전자공학과를 지원했다. 그런데 김 교수는 새로 생긴 학과에 가면 전망이 좋지 않을까
기대
하며 재료공학과를 택했다. 그는 재료공학과 2회 졸업생이다. 후회한 적은 없다. 김 교수는 “평균적인 능력만 되면 뭐든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재료공학 안에도 다양한 세부전공이 있기 때문에 얼마든지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