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3,701건 검색되었습니다.
1. 유전자 이상이나 염색체 숫자·순서 바뀔 때 나타나
과학동아
l
199403
일부러 돌연변이를 유도한다. 그 방법중의 하나는 유전자 이식 기법으로, 생쥐 생식
세포
의 염색체에 외부로부터 넣어준 DNA를 삽입시켜 이때 DNA가 마침 중요한 유전자 한 가운데에 삽입되면 유전 암호가 중간에 단절되므로 돌연변이가 될 것이다. 이 생쥐는 외부에서 넣어준 유전자를 대대로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03
시각중추에서 수백만개의 신경
세포
가 보여주는 행동이 혼돈임을 발견해낸 것이다. 신경
세포
집단의 복잡한 활동은 무작위적으로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질서가 숨어있다는 것이다. 요컨대 뇌의 복잡한 구조로 말미암아 혼돈은 필연적인 부산물로 나타난다. 뇌의 활동이 혼돈이기 때문에 뇌가 ... ...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
과학동아
l
199402
세포
자체가 만들기 시작하는 물질. 항체 생산보다 일찍 시작하여 바이러스가
세포
에서
세포
로 퍼지는 것을 막아주는 초도단계의 방어기능을 맡고 있다고 볼 수 있다.인터페론은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및 예방에 쓸 수 있으나 숙주특이성이 있기 때문에 쉽지는 않다. 사람에게는 사람인터페론만이 ... ...
설치류로부터 배우는 것
과학동아
l
199402
이들 과학자들은 그 병으로부터 죽은 사람의 집에서 잡은 쥐인 디어마우스로부터 얻은
세포
를 조직 배양하는 방법을 통해 바이러스를 분리해내고 실험실에서 그것을 증식시켰다. 디어마우스는 현재 미국 서부에서 폭발적인 수의 증가를 보이고 있는데 이들이 원래 동양으로부터 온 한탄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
과학동아
l
199402
0년 WHO, 천연두의 근절을 선언1980-81년 미국의 갤로 등 사람의 발암레트로바이러스인 성인T
세포
백혈병바이러스(HTLV-1) 발견1983년 프랑스의 몬타니에 등 에이즈의 원인바이러스인 HIV를 발견1989년 미국 카이론사, C형간염 바이러스를 발견1990년 미국의 로젠버그, 바이러스를 사용한 유전자치료를 ... ...
세포
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
과학동아
l
199402
이 강력한 우두머리 유전자는 다른 유전자들을 차례로 발현시키고 여러 유전자들이 함께
세포
의 운명을 실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번호냐 이름이냐 고슴도치 유전자 이름 둘러싸고 학자들간 의견충돌배(胚)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양한 고슴도치 유전자에 이름을 붙이는 문제를 둘러싸고 ... ...
PART.2 쓸만한 타이틀을 찾아라
과학동아
l
199402
마우스로 인체 어느 부분이든 단계적으로 해부할 수 있으며 그 부분에 관련된
세포
학, X선, 단층촬영 단면 등의 자료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의대생의 학습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 CD-ROM 타이틀에 들어있는 내용을 임의적으로 편집,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전문 분야별 서적을 ... ...
인류 기원의 수수께끼 푼다
과학동아
l
199402
인류로 진화되었다는 다지역진화론과 완전히 상반되는 가설이다. 윌슨은 화석 대신에
세포
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하여 이브이론을 내놓았기 때문에 옛DNA 연구에 의하여 그 타당성이 판가름날 것으로 보인다. 네안데르탈인의 뼈에 보존된 DNA 분석결과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 증의 하나이다.옛DNA는 ... ...
2. 형형색색 바이러스 세계
과학동아
l
199402
전자 현미경이 만들어지기까지 인간은 바이러스를 볼 수 없었다. 그 최초의 모습을 본것이 1938년. 막 개발된 전자현미경으로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를 ... ② 바이러스 주변에 소포가 형성된다.③ 껍질이 벗겨진 캡시드가 소포로부터
세포
의
세포
질로 들어간다.④ 핵산의 중심만이 남는다 ... ...
3. 변화무쌍한 돌연변이로 '싸움'과 '공존'의 이중전략 구사
과학동아
l
199402
가지고 있다.두번째 가설은 바이러스는
세포
로부터 독립성을 획득하고 도망갈 준비가 된
세포
핵산을 대변한다는 것이다. 이 가설을 진전시키면 바이러스가 인트론과 트랜스포존에서 생겨났다는 해석이 가능해진다. 또 바이러스가 두가지 경로를 통해 생겨났으리라는 추측도 가능하다. 그만큼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