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스페셜
"
이후
"(으)로 총 4,63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자신은 절대 차별주의자가 아니라고 말하는 사람들
2020.07.04
죽음
이후
미국에서 인종차별에 대한 관심이 다시 뜨거워지고 있다. 플로이드 사건
이후
흑인이라는 이유로 살해당했다고 주장하는 사건들이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편에서는 ‘인종차별은 옛날 일’이라거나 지금은 인종차별이 거의 없고 백인에 대한 ‘역차별’이 더 심하다고 ... ...
"AI가 범죄 연결성 찾아내 꽁꽁 숨은 익명 범죄자까지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수배자 가족들의 연락 사이 연결성을 살펴본 후 전화가 많이 걸려온 이를 찾아냈다.
이후
이 사용자가 대포폰을 쓴다는 것을 인지하고 수배자로 특정해 검가한 것이다. 김 실장은 “연결된 엣지가 많으면 중심 인물이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매개중심’을 찾아내는 방법도 활용된다. ... ...
정부 "1단계 거리두기 기준 50명 5번째 초과…현상황 매우 엄중"
연합뉴스
l
2020.07.03
"1단계에서 위험도가 가장 높은 상황으로 전개" "아직은 거리두기 1단계 조치로 대응이 가능" 정부는 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수도권을 ... 신규 확진자가 63명 늘어 누적 1만2천967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는 지난달 28일(62명)
이후
5일 만에 60명대로 올라섰다. ... ...
"코로나19 감염력 더 강해진다" vs "근거 없다" …'변이' 논란 오리무중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비교한 넥스트스트레인의 분석 자료다. D614 유형(녹색)은 초기에 확산하던 유형이다.
이후
유럽을 기점으로 G614 유형(노란색)이 널리 확산했다. 미국에서도 이 유형이 동부를 중심으로 크게 확산해 지금은 다수가 됐다. 한국은 초기에 D 유형만 보고됐지만, 이태원 사태 등에서 G 유형이 보고되기 ... ...
대구서 87일만에 집단감염…코로나19 다시 대구 위협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발생했다. 전날 중구의 한 연기학원에서 감염자가 7명이 발생했다. 지난 4월 7일 13명
이후
대구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확진 판정을 받은 연기학원 수강생이 다니는 경명여고에 대한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라 확진자가 더욱 늘 것으로 보인다. 광주 신규 확진자는 1일 12명으로 ... ...
"방역조치 완화하면 두달 내 수도권 환자 46.7% 늘어" 수리모델 분석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7.02
이어가다 집단 감염이 나타났음에도 5월 29일까지 생활 속 거리두기를 유지했다.
이후
수도권은 29일부터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했다. 이 시기 모두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했다면 8월 31일까지 누적 감염자 수가 31.5%줄어든 1133명이 될 거라고 이 교수는 분석했다 ... ...
국내 기업들 어떤 R&D 할지 몰라 막막해
동아사이언스
l
2020.07.02
가운데 96%인 1299개 기업은 중소기업이었다. 분석 결과 응답기업의 66.6%는 코로나19
이후
에 도래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에 대응하기 위한 R&D를 제대로 준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는 전혀 준비를 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고, 46%는 준비를 하고는 있지만 부족하다고 답했다. 특히 R&D ... ...
AI는 자원탐사를 어떻게 도울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7.02
‘그린뉴딜과 에너지 저장광물 탐사’를 주제로 포스트 코로나
이후
에너지 저장광물 탐사 로드맵을 제시한다. 윤대웅 전남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는 ‘지구물리탐사에서 AI의 역할’을 주제로 지구물리학 연구에서 AI가 적용된 최신 사례들을 소개한다. 심포지엄은 홈페이지(https://kseg.jams.or.kr ... ...
대기 뺏겼나 원래 없었나…껍데기 없이 핵만 남은 행성 첫 관측
연합뉴스
l
2020.07.02
원시행성과의 충돌로 발생한 엄청난 열로 가스 대기가 부풀었다가 사라지면서 핵만 남고
이후
수십억년에 걸쳐 항성쪽으로 점점 다가서 현재의 상태로 발견됐다. TOI 849 b는 약 95억년 뒤 별에 떨어지는 것으로 예측됐다. [University of Bern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베른 대학이 개발한 '베른 ... ...
"사람에게 바이러스 주입하는 '휴먼챌린지' 안전한 백신 만드는데 기여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7.02
주장했다. CHIM의 경우 초반 후보물질 개발은 보통 백신 개발과 비슷하게 이뤄진다.
이후
약화시킨 병원체를 개발하는 등 공격접종시험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는 단계가 추가된다. 최적의 효과 확인을 위한 대상자 설계 등도 이뤄지고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가는 과정 등도 필요하다. 모든 과정이 ... ...
이전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