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9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성의 달 ‘엔켈라두스’에 심해 생명체 존재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크리스토퍼 글라인 연구원이 주도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3
일자
에 실렸다. ● 액체 상태 바다가 있다고 추정되는 엔켈라두스 엔켈라두스는 목성의 위성 유로파와 함께 액체 상태 바다가 있을 가능성이 가장 큰 천체로 꼽혀 왔다. 엔켈라두스 표면은 40km 두께의 ... ...
창의력은 25세에 정점 찍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실험에서 이 같은 사실을 발견해 학술지 ‘미국공공과학도서관(PLOS) 전산생물학’ 4월 13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창의성은 4세부터 서서히 증가해 25세에 정점을 찍은 뒤 40세까지 완만하게 감소했다. 40세부터 60세까지는 별다른 변화가 없다가 60세 이후 급격히 떨어진다. 연구진은 4종류의 ... ...
걸으면 충전되는 휴대용 ‘종이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4.13
저장할 수 있는 휴대용 자기충전 종이 배터리를 개발했다고 ‘미국화학회(ACS) 나노’ 12
일자
에 발표했다. 후천궈 중국 충칭대 교수팀도 이 연구에 참여했다. 이 종이 배터리는 신체가 움직일 때 생기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 저장한다. 물리적 마찰이 일어나면서 발생하는 정전기나 ... ...
파키스탄 ‘근친혼’ 자손이 알려준 인간 유전자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4.13
파키스탄 내 근친혼 자손에 대한 대규모 유전자 조사 시행 결과를 학술지 ‘네이처’ 13
일자
에 발표했다. 이 연구엔 원홍희 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원 교수도 참여했다. 이들이 근친혼 자손에 주목한 이유는 사람이 가진 2만여 개 유전자 각각의 기능을 모두 파헤치기 위해서다. ● 유전자 기능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 뉴런 제공 ● 잠의 양보다 질이 더 문제 신경과학 분야의 학술지 ‘뉴런’ 4월 5
일자
에는 ‘수면과 인간 노화’라는 제목의 리뷰논문이 실렸다. 나이가 들수록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현상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내년에 오십이 되는 필자로서는 남의 일이 아니기 때문에 ... ...
콧물로 간편하게 바이러스 감염 진단
과학동아
l
2017.04.11
이용하면, 감염된 바이러스의 종류를 알아낼 수 있다고 ‘e바이오메디슨’ 2월 22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임의로 선택한 단백질 438개, 펩타이드 3285개의 데이터와 H3N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독감에 걸린 환자, 리노바이러스에 감염된 감기 환자의 단백질을 비교분석해 감염된 바이러스에 따라 ... ...
모터 없이 열로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7.04.11
서울대 연구진이 개발한 움직이는 직물. 섬유 피복으로 감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로 꽃 모양의 직물을 짰다. 뜨개질 패턴에 따라 열이 가해졌을 때 굽힘, 비틀림, 선 ...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4
일자
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 ...
내기에 진 친구의 최후
팝뉴스
l
2017.04.10
제공 현지
일자
3월 30일 미국 휴스턴 경찰에 신고 전화가 빗발쳤다. 한 남자가 테이프로 묶여 교통표지 기둥에 붙어 있다는 것이다. 경찰이 출동했을 때 두 번째 남자도 나타났다. 그의 손에는 칼이 있었다. 경찰은 당장 칼을 내려놓지 않으면 전기 충격기로 공격하겠다고 위협했다. 그런데 알고 보니 ... ...
백악기 뜀걸음 포유류 발자국 발견
과학동아
l
2017.04.10
보이며, 가장 명확한 뜀걸음의 형태를 보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백악기 연구’ 2월 7
일자
에 실렸으며, 발자국 화석은 내년 하반기부터 일반인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가 모기를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4.09
주 네이처(4월 5
일자
) 표지는 모기의 날갯짓에서 확인할 수 있는 ‘소용돌이’ 현상을 소개했습니다. 모기가 날갯짓으로 만들어 내는 공기 흐름의 순간적인 방향성을 묘사했습니다. 영국 런던 왕립수의대학 운동구조연구실 소속 동물학자 리자드 봄프리와 공동연구팀은 모기가 비슷한 크기의 ... ...
이전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