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야
평원
벌
플레
들판
들녘
벌판
d라이브러리
"
들
"(으)로 총 3,214건 검색되었습니다.
쿼크다음엔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있다면 그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물리학자
들
은 서브쿼크 모형 등 새로운 가설
들
을 활발히 내놓고 있다. 이때 강력한 무기는 거대 가속기. 미국이 1995년에 가동시키려 하는 SSC는 장치의 길이가 1백5㎞나 된다. 또 양성자의 붕괴를 관측하거나 자기단극자(모노폴)를 검출하는 등의 낮은 에너지의 ... ...
수산·해양분야의 선구 부산수산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어업기술뿐 아니라 각종 해양자원과 해양에너지를 개발, 이용할 역군을 길러내는 특성 있는 대학"부산수산대학을 나오면 어선을 타고, 해양대학을 나오면 상 ... "개척자정신을 갖고 해양개발에 인생을 바칠 각오가 선 사람을 대환영한다"는 게 이 대학교수
들
이 한결같이 강조하는 말이다 ... ...
과학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학습자료의 다양화가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활용될 수 있도록 재정적, 제도적인 뒷받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그것은 아무리 잘 만
들
어진 교육과정이나 교과서가 있다 할지라도 과학교육의 실제적인 구현은 교사와 학생이 과학수업 시간에 무엇을 가지고, 어떻게 가르치고 배우느냐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 ...
PartⅢ 한국인이 주의할 점 ▶콘돔은 꼭 ▶면도기 등 공동사용기회 줄여야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한국도 AIDS에 예외 국가일 수는 없음을 알 수 있다. 동성 연애자
들
의 특별한 성 행태로 만이 전염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감염경로를 갖고 시시각각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는 AIDS. 어느 사이엔가 퇴폐 문화도 한자리 차지하게끔 된 한국의 현 상황이 결코 한국을 AIDS 관할 ... ...
과학영재 6백명의 교육현장 전국의 과학고등학교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과기대합격자 43%가 과학고출신87학년도 과학기술대 신입생 선발의 결과가 알려지자 갑자기 과학고등학교가 주목의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과기대 입 ... 되는가도 의문이다. 영재교육의 이념정립와 실제운영에 있어서의 여러가지 문제점
들
이 깊이 있게 논의될 시점이다 ... ...
미국 수소폭탄의 아버지 에드워드 텔러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그 내용을 알지 못하면 국가의 의사결정과정을 왜곡 하여 결국 자유세계 과학자
들
의 연구작업을 막아 버리는 결과를 빚어낸다고 말하고 있다.80고개를 바로 앞둔 이 노과학자는 제2차 세계대전후 그의 도움으로 창설된 리버모어 연구소에 대해 최대의 애착을 느낀다면서 아직도 왕성한 성취욕을 ... ...
'만물의 이론'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것이다.초현이론에서는 ${10}^{33}$개를 일렬로 늘어놓아도 1㎝밖에 안되는 작은 끈
들
로 이루어진 10차원 우주의 개념을 사용한다. 즉 9차원의 공간과 1차원의 시간으로 이루어진 10차원 우주는 빅뱅의 초기에 9차원이 동등했으나, 우주의 팽창에 따라 3차원 만이 우주와 함께 팽창하고 나머지 6차원은 ... ...
초능력을 군사목적에 쓴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지하의 상태를 탐지해내는 '올레그 이와노프스키'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ESP소유자
들
에게는 이미 초능력의 군사이용을 위한 의뢰가 비밀리에 가 있는지도 모른다.거기에 중공이 가담하게 되면 세계는 표면적인 세력 균형의 수면 아래에서 상상도 하기 어려운 ESP파워의 투쟁이 현실로 나타나게 될 ... ...
한국인의 근무시간 세계최고, 능률은 몇째?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찾아내는 일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우리 주위의 비능률적이고 불합리한 요소
들
을 찾아내 시정해야만 할 것 같다. 노동시간은 세계 1위이지만, 능률은 하위에 처져 있다는 자각이 없어지도록 말이다 ... ...
생태계의 미묘한 취약지구 사막이 늘어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 게다가 사막화의 위험을 안고 있는 지역은 대개 제3세계 국가
들
이다. 전세계 인구의 1/7이 살고 있는 이 지역 주민 가운데 7천 8백만명이 생산력을 잃은 대지 위를 떠돌고 있다. "문명 전에는 삼림이 있었고 문명 후에는 사막이 남는다"는 '샤토브리앙'의 말이 실현될 지도 ... ...
이전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