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大화면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이 본부장은 “코오롱인더스트리가 2016년 세계 최초로 투명 PI필름 개발에 성공한 뒤, 현재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바로 양산 가능한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폴더블폰을 가장 먼저 선보일 업체로는 삼성전자나 화웨이 둘 중 한 곳일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가 투명PI 관련 기술을 ...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펄스를 바로 증폭하는 대신 펄스 폭을 늘려서 시간적으로 아주 긴 레이저 펄스를 만든 뒤, 증폭기를 이용해 레이저 에너지를 키웠다. 그리고 다시 펄스 폭을 짧게 압축시켰다. 그 결과 펄스 폭도 짧으면서 에너지는 훨씬 강한 레이저를 얻을 수 있었다. 무루 교수와 스트리클런드 연구원이 이 ...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스마트폰과 무선 이어폰이다.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앱)에 무선 이어폰을 연동한 뒤 무선 이어폰을 통해 1km를 지날 때마다 운동 시간과 평균 속력을 안내받았다. 일종의 페이스메이커로 삼은 셈이다. 이는 스마트폰과 무선 이어폰에 탑재된 가속도계 덕분에 가능했다. 가속도계는 물체의 ...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2014년 12월 발사된 일본의 소형 탐사선 ‘하야부사2’가 32억km를 여행한 끝에 지난 6월 소행성 ‘류구’ 상공에 도착했다. 류구는 지구에서 약 3억km ...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하야부사2는 적어도 1g의 류구 샘플을 가지고 2019년 11월 12일 류구를 떠난 뒤 2020년 말 지구로 귀환하게 될 것입니다 ...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있는 만큼 수학자들의 길은 더욱 넓어질 전망이다. 리벳 교수는 “미국의 경우 10~15년 뒤에는 수학 박사들의 대다수가 대학이 아닌 산업계와 정부 기관 등으로 진출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가령 생물학을 전공한 사람이 수학을 공부해서 연구에 적용하는 것보다 수학을 전공한 사람이 생물학을 ... ...
- [과학뉴스] 짜잔! 2D 영상이 3D 모션 조각으로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입력하면 영상 속 피사체의 골반이나 무릎, 발목 등의 위치를 2차원 좌표로 변환한 뒤 이 점들을 이어 3D 골격을 만든다. 이어서 3D 골격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움직이는지 연속적으로 보여준다.연구를 이끈 시우밍 장 박사과정 연구원은 “자신의 움직임을 모션 조각상으로 본떠 어느 부위를 어떻게 ...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현재 프로토타입이 개발될 만큼 상용화가 그리 먼 얘기가 아니다”라며 “이르면 3년쯤 뒤에는 제품이 출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체내 ‘페이스메이커’ 무선으로 충전한국전기연구원은 1999년 10kW급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개발했고, 2011년에는 가정에서 휴대전화나 태블릿PC 등을 충전할 수 있는 ...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명언을 떠올리게 된다. 이용구서울대에서 기계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삼성SDS를 거쳐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방문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GIST 기계공학부 교수로 있다. 2000년부터 광집게를 연구했으며, 이외에도 자율주행자동차와 3D 및 4D 프린팅 등을 연구하고 있다. lygu@gist.ac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약 1%가 앓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글루텐민감성이 있는 사람들은 밀가루 음식을 먹은 뒤 배탈, 복부팽만, 설사, 두통, 가려움증, 천식 등 다양한 증상을 호소한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글루텐을 비롯한 밀 속 단백질이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유력한 용의자로 꼽힌다. 이와 같은 증상이 ... ...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극소량 포함된 탄소가 지하 150~220km의 고온고압 환경(1300~1800도, 6만5000기압)에서 결정화된 뒤 지하 깊은 곳에서 빠르게분출되는 특별한 화산 활동인 킴벌라이트에서 발견된다. 그런데 블루 다이아몬드는 이보다 최대 4배 더 깊은 곳에서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반 스미스 미국 보석감정연구소(GIA) ... ...
이전3033043053063073083093103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