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스페셜
"
뒤
"(으)로 총 3,93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맛의 비밀 '침단백질'에 있다
2019.08.06
chorda tympani nerve)은 미각을 전달하는 안면 신경이다. 퀴닌 용액에 침단백질을 넣은
뒤
혀에 떨어뜨리면 고삭신경의 반응이 약해졌다. 쓴맛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졌다는 말이다. 그런데 왜 쓴맛에 자주 노출되면 쓴맛에 둔감해지는 걸까. 진화생물학에 따르면 쓴맛은 먹이에 독이 들어있을 수 있다는 ... ...
'중국판 스페이스X', 상업 우주발사 시동 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5
구이저우 성의 지정된 착륙 지점으로 유도하기 위해 장착된 것으로 발사 후 약 두 시간
뒤
로켓 잔해물이 CASC가 유도한 낙하지점에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허웨이 CASC 선임연구원은 “그리드 핀 기술을 성공적으로 실험해 로켓 착륙 문제를 푸는 중요한 진전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중국 ... ...
알파고 한계 뛰어넘는 ‘AI 자전거’ 나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8.05
FLI)’가 AI 전문가 16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서는 응답자의 50%가 45년
뒤
인간을 위협할 만한 AGI가 출현할 것으로 답했다. 또 AI가 인간의 모든 직업을 대체하는 데 앞으로 120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세 살 아기도 알건 안다
2019.08.03
나오는 만화를 보여준다. 도형 하나가 경사진 길을 힘들게 올라가고 있는데 다른 하나는
뒤
에서 밀어주고 다른 하나는 위에서 방해하는 상황이다. 이후 아이들에게 똑같은 모양의 도형을 보여주고 마음에 드는 도형을 집게 했을 때 아이들은 나쁜 도형보다 착한 도형을 더 많이 선택하는 경향을 ... ...
추억의 장소 가면 설레는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이유도 밝혔다. 별세포에서 뮤 오피오이드 수용체가 생기지 않도록 유전자를 바꾼
뒤
관찰한 결과 별세포의 오피오이드 수용체가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 분비를 촉진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글루타메이트는 해마 시냅스 신경세포 사이의 신호 전달을 강화해 장기 기억을 강화했고, ... ...
[과학게시판] 과학기술단지정책 및 기술이전사업화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지원하고 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거점을 마련한다는 목적으로 2016년 12월 착공된
뒤
지난해 9월 완공됐다. 센터 내에는 기업입주공간과 게스트룸, 국제회의실 등 66개 공간이 마련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
2019.07.30
뉘앙스를 풍겼다. 2029년은 허블이 우주 팽창을 발표한 지 100년이 되는 해다. 과연 10년
뒤
에는 관련 연구자들이 동의하는 허블상수가 정해져 다들 가벼운 마음으로 100주년을 축하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누에 똥으로 중력장 증폭?" 정부 연구기관이 낸 이상한 논문 철회 '망신살'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필립 모리아티 영국 노팅엄대 교수는 리트랙션와치로부터 논문 검토를 의뢰 받고 난
뒤
블로그에 25일 동료평가 과정의 허점을 지적하는 글을 올렸다. 필립 모리아티 교수 홈페이지 캡쳐 한편 ‘중첩중력에너지’를 다룬 논문이 국내 학술지에 세 편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
[Science토크]‘알파폴드’ 쇼크로 치열해지는 단백질 구조 분석 경쟁
동아사이언스
l
2019.07.28
접근법에 ‘반복적 기하학적 네트워크’라는 이름을 붙였다. 아미노산이 배열되는 앞
뒤
의 정보를 기반으로 단백질의 일부분 구조를 예측하는 방식이다. 사람들이 문장 전체를 이해할 때 해당 문장에서 주변 단어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단어를 해석하는 것과 유사하다. 알쿠래시 박사는 자신이 ... ...
'아재개그'를 향한 가식적 웃음도 재미를 느끼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척도를 매겼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농담에 대해 평균 2.708점을 줬다. 농담 이후 웃음이
뒤
따라오면 사람들은 더 재미있는 것으로 느꼈다. 연구팀은 개그 이후에 웃음소리가 들리도록 녹음한 후 이를 참가자에게 들려줬다. 웃음은 무미건조한 느낌의 가식적인 웃음과 자연스러운 반응으로 터져 ... ...
이전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