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기준"(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술력 최고인 남한, 광물자원 풍부한 북한과학동아 l2018.04.26
- 차지하며, 광업과 광공업은 북한 국내총생산(GDP)의 각각 12.6%와 34.9%를 차지한다(2017년 기준). 북한의 8개 광화대 - 북한에서는 8개의 광화대(광상 밀집 지역)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 광종은 철,금,구리,아연,중석, 무연탄, 유연탄, 몰리브덴, 마그네사이트, 희토류 등이다 - 자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박적 행복추구는 오히려 독이다2018.04.21
- 느껴야 할 행복감의 크기 또는 꼭 피해야 할 부정적 정서들 같이 감정에 옳고 그름의 기준을 정할수록 자연스럽게 올라오는 다양한 감정들의 존재에 쓸데없이 실망감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그저 한 발짝 떨어져 슬플 때는 ‘내가 지금 슬프구나’, 기쁠 때는 ‘내가 지금 기쁘구나’ 하고 생각하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2018.04.17
- 얼마나 놀라운 구조인가. pH는 수소이온지수로 용액의 산성도를 나타낸다. 중성인 pH7을 기준으로 그보다 작은 값은 산성, 큰 값은 알칼리(염기)성이다. 따라서 pH1이면 산성이지만 이 숫자만으로는 얼마나 큰 차이인지 실감이 안 난다. pH는 수소이온농도의 상용로그에 –1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pH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2018.03.24
- 불리는 과정이다. 사람을 판단할 때 '능력'과 '따뜻함'의 인격적 차원 크게 두 가지 기준에 따른다 -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제공 사람을 판단할 때 주로 보는 것 사람에 대한 판단, 인상형성의 한 가지 재미있는 점은 ‘능력 유무’의 차원보다 ‘따뜻함·차가움’의 인격적 차원이 훨씬 더 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2018.03.20
- 만드는 것이다. 물론 이런 양극재는 이미 나와 있지만 아직 전기차에 쓸 수 있는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코발트가 이처럼 중요한 건 코발트이온의 전자배치가 독특해 이온의 크기가 아주 작고(특히 리튬이온이 들어왔을 때인 Co3+에서) 안정된 층상구조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피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2018.02.20
- 올라간다. 2차세계대전이 한창이던 당시 록펠러재단은 하버드대에 10만 달러(현재 화폐 기준으로 약 17억 원)를 기부하며 영양학 분과를 만들게 했다. 한편 15개 식품회사에서 도합 100만 달러(약 170억 원)를 출연해 영양재단(Nutrition Foundation)을 설립했다. 의사이자 생화학자인 프레더릭 스테어(Frederick ... ...
- 민간 최초 심(深)우주 탐사용 로켓 ‘팰컨 헤비’ 발사 성공…1단 로켓 3기 중 2기 회수동아사이언스 l2018.02.07
- 이후 가장 강력한 우주발사체로 꼽힌다. 길이 70m, 폭 12.2m에 탑재 중량은 63.8t(지구저궤도 기준)에 이른다. 화성까지는 16.8t의 화물을 보낼 수 있다. 재사용 로켓 3기로 이뤄진 ‘팰컨헤비’의 1단 양끝의 로켓 2기가 먼저 분리돼 지상에 동시에 착륙하는 모습. - 스페이스X 제공 2단형 로켓인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친구 없어! 나만 불행해! 라는 생각이 찾아올 때 2018.01.13
- 보통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나만 친구가 없다고 느껴지는 것은 애초에 비교의 기준이 지나치게 편향되어 있어서 생기는 착각에 가깝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가 속속들이 사정을 알 수 있는 것은 오직 나의 내면일뿐, 타인의 사정에 대해서는 겉으로 보이는 피상적인 정보가 전부인 경우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의 시선과 의무감을 벗어던질 때 최고의 성과가 나온다 2018.01.06
- 너희는 마추픽추를 제대로 체험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제대로’의 기준은 뭘까? 꼭 다들 거기까지 알아야 하나? 그냥 내가 같은 경험의 조금 다른 면들까지 다양하게 알게 되었다는 것 자체로 만족하면 되지 않을까? 그걸 사람들이 꼭 알아줘야 할 필요는 없지 않나. 작은 ... ...
- [지뇽뇽의 사회심리]당신은 꼰대입니까? 2017.11.17
- ‘이미 지나간 일’이기 때문. 즉 다시 일어나지 않을 일임을 알고 또 ‘현재의 본인’을 기준으로 삼아서 이야기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그 당시의 미숙했던 자신으로 다시 돌아가 그 일을 한다면 몇 번을 다시 해도 그 일은 어려울 것이다. 참고로 필자의 집에서는 한 어르신이 최근 대학 ... ...
이전302303304305306307308309310 다음